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그림 단서 문항을 활용한 외국어 시험의 출제 경향들을 확인하고 그림 단서 문항 유형을 한국어 능력 평가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림을 활용한 과제나 평가에 대한 외국의 연구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고 언어 숙달도 평가 도구의 그림 단서 문항들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평가 도구별 그림 단서 문항의 기초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을 중심으로 구성된 몇 가지 유형의 그림 단서 문항에서 그림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수험자 대상 인식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TOPIK의 그림 단서 문항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 형태에 대해서도 TOPIK에 삽입되어 있는 삽화에 대한 인식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외국어 평가 도구가 대부분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사진을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평가에서의 그림 활용은 다음과 같이 다루어질 수 있다. 첫째, 그림 단서 문항에 활용되는 그림은 단순하고 명확해야 한다. 둘째, 실제적인 그림이 좋으며, 삽화일 경우 사실적으로 그려진 것이 좋다. 셋째, 그림의 배경이 복잡하지 않고 평가하고자 하는 항목 이상의 너무 많은 정보를 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그림의 지엽적인 부분을 변별하는 그림 단서 문항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st items using picture cues and the efficiency of its use in within the TOPIK exam. To achieve this, theoretical background within international studies that studied tasks and assessment using picture cues were examined, which in turn served to provide criteria for analyzing picture cues as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tools. Accordingly,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picture cues mainly in the TOPIK through conducting a questionnaire targeting examinees and their level of recognition. As a result, questions of picture cues received generally positive recognition. In addition, the pictures that were included as TOPIK illustrations received positive recognition. Considering many other language assessment tools that consist of pictures, this suggests many ways of applying pictures in assessment. Assessment using pictures can be addressed as follows. First, pictures used in test items should be simple and clear. Second, realistic pictures are preferable, and realistic drawings are better in the case of illustrations. Third, the background in the picture should not be complex and should avoid containing too much information or more than what is evaluated. Fourth, it is a good idea to avoid picture cues that require distinction of minor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