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 시조시의 형식과 미적 구조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3장 형식의 문학 텍스트만을 대상으로 음수율과 음보율 등 율격론의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시조는 초장과 중장이 병렬되고 종장 제1음보와 2음보의 음절수(3음절→5음절 이상)의 차이에 의해 시적 轉換이 일어나며, 제3음보와 제4음보는 초․중장과 달리 음절수가 줄어들면서(4음절→3음절) 마무리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주지하다시피 시조시는 시조창과 가곡창에 얹어 부르기도 하고, 남도의 <육자배기>와 경기민요인 <노랫가락>의 노랫말로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시조시는 문학 텍스트인 ‘詩’이면서 다양한 곡조에 얹어 부르던 ‘노랫말’인 것이다. 가곡창으로만 부르던 18세기까지 시조시뿐만 아니라 19세기 이후에 창작된 작품들도 대부분 가곡창에 얹어 부르기 위해 창작되었다. 즉 시조시는 가곡창의 미적 구조를 고려하여 창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으로서의 시조시와 음악으로서의 가곡창이 만나는 접점은 형식과 미적 구조에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곡창과 시조시의 미적 구조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시조시는 초장과 중장에서 동일한 음수율이 반복된다는 점에서 율격적으로는 단순한 반복으로 보이지만, 가곡창의 구조로 볼 때는 초장의 전구와 후구, 즉 가곡창의 초장과 2장은 선율적으로 대비되며, 3장은 초장과 2장의 두 배인 4음보가 할애되어 시적 정황이 구체화되며 음악적으로는 굴곡이 심한 선율이 사용된다는 점에서 단순한 반복이라 할 수 없다. 또한 3장까지 점진적으로 고양되던 정서는 中餘音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 4장에서 급격히 높은 폭발적인 선율로 길게 이어지는데, 4장의 3음절에는 일반적으로 화자의 정서나 시적 정황과 관련된 핵심어가 배치된다. 즉 시조시 종장 제1음보(가곡창의 4장)의 시적 전환은 제1음보와 2음보의 음절수의 현격한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시적 전환은 3장까지의 정서적 고양이 중여음에 의해 갑자기 중단되고, 4장에서 폭발적인 선율로 끊어질 듯 이어질 듯 긴장감을 유지하며 진행되는 선율과 4장에 배치된 시어의 특성으로 인해 일어나는 것이다. 5장은 낮고 유장한 선율로 마무리되는데, 제3음보에는 선율적으로 가장 굴곡이 심한 부분으로, 작품의 주제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시어가 배치되고 제4음보에 화자의 정서 표출이나 지향을 나타내는 시어가 배치됨으로써 작품이 마무리된다. 시조시는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가곡창의 흐름에 맞추어 창작된 것이며, 따라서 시조시의 미적 구조와 아름다움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조음악을 먼저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서양음악의 절대적인 지배를 받고 있는 오늘날 시조음악은 아프리카나 중앙아시아의 음악처럼 우리에게는 한없이 낯선 음악의 하나일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조음악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문제는 결국 초중등 음악교육을 통해 해결할 수밖에 없으며, 시조문학과 시조음악의 관련성을 해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때 교과목간 연계성도 일정한 성취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relevance of the aesthetic structure between the Gagok-chang and Sijo text. As you know, Sijo text have been used as a song lyrics of Sijochang, Gagokchang, Yukjbaegiand, Noraegarak etc. Therefore, Sijo is literary text and song lyrics which used to sing in various tones. Until 19C, Sijo had been created as the song lyrics of Gagokchang. In other words, it was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and melody of Gagokchang. Nevertheless, most studies on the form and aesthetic structure of Sijo have been carried out in terms of literary text, exclud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gokchang. That ware studied with Sijochang in terms of metrics.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form and aesthetic structure of Sijo is as follows. The first and second part of a Sijo are parallel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ction of the third part, a poetic conversion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yllables(3 over 5 syllable) and in the third and fourth section, the work is finished as the number of syllables decreases(4 3). The Sijo text can be recognized as a simple repetition in the sense that the same syllable number is rep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part.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part of Gagokchang are melodiously contrasted, and in the third part, four sections are devoted to embody poetic contexts and to elevate emotions using melodious melodies. Therefore, it is not a simple repetition. In addition, the gradually increasing emotional up to the third part takes a short breath in the intermezzo, and in fourth part the high and explosive melodies are going to be cut off as tense and long. The three syllables in the fourth part usually have a key word related to the emotional or poetic context of the speaker. Therefore, the poetic conversion of the first section (the fourth section of the song) of the third part of Sijo text is not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Poetic transitions are caused b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gokchan and the special lyrics. The fifth part is finished with a low and leisurely melody. The third section is combined with the most rhythmical melody, and the lyric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theme of the work is placed. In the final section, the work is completed by arranging a lyrics that expresses the emotion or will of the spe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