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 한식당의 Take-Out Food 이용행태 및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판별분석, 인원배치분산분석, 카이제곱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세분시장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세분시장별로 한식당의 Take-Out Food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Take-Out Food 월 구매횟수, 구매이유, 구매 시 고려사항, 정보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세분시장별로 한식당의 Take-Out Food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안전성, 편의성, 경제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 Take-Out Food 이용행태 및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차별화 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on use behavior and selective attribution of Korean restaurant take-out food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K-means clustering, discriminant analysis, one-way ANOVA and chi-square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ypothesis1 analysi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level. Second, Hypothesis2 analysi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ke-out food use behavior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purchase per month, reasons for purchasing, considerations and source of information. Third, Hypothesis3 analysi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ke-out food selective attribution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convenience and 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