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듣기 곤란 요인을 토대로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듣기 평가 구성을 살피고, 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습자의 듣기 과정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데, 본고에서는 특히 문제 해결에 관련된 단서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듣기 평가 문항의 제시문이 듣기의 속성을 반영하여 구성하고 있는지, 듣기 타당도와 곤란도에 단서가 주는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우선, 본고는 한국어능력시험의 듣기 기출문항 중 독백적 발화로 된 제시문에서 단서의 배치, 제시 방법, 단서 이해에 요구되는 과제의 수준이 듣기의 목적에 맞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32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문항 곤란도를 분석함으로써, 듣기 제시문에 포함된 단서가 듣기 목적에 타당한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단서의 배치와 제시 방법에는 일정한 기준이 없어서, 듣기 평가의 결과가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을 정확하게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분석적 듣기 및 추론적 듣기 등 중급 이상의 듣기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단서로 쓰인 문장에 사용할 핵심어 및 어순에 유의하여, 사실적 듣기에 한정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sition of the Listening test of TOPIK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t. Various factors affect the learner’s listening proces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clues related to problem solving. And this sutdy will examine whether the Transcripts of listening test reflects the attributes of listening, and whether there are influences of clues on the Listening validity and difficultie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vel of tasks required for understanding about clues, Presentation Method of clues, Placement of clues in listening test Transcripts composed of monologue are suitable for Listening purpose.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iculties of questions through 32 learner’s experiments. And through th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lues in Transcripts are valid for listening purpo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no standard for placement and presentation method of clues in the TOPIK. For this reason, the results of the listening test did not accurately show the listening ability of learners. And, Listening test questions should be careful about the keyword and word order to be used in clues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realistic listening so as to confirm the listening ability of the intermediate level such as analytic listening or inferential list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