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nger-out and organizational members’ silence behavior. To minimize the common method bias from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separately after a time interval. Also, trait hostility and affectivity at the workplac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to increase the objectivity in the responses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the leader’s anger-out. 335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to be used as the data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leader’s anger-out increases silence behavior when mediated consecutively by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That is,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between the leader’s anger out and organizational members’ silence behavior was verifi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리더의 분노 표출(anger-out)과 조직 구성원의 침묵 행동 간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분노 반추(anger rumination)와 상태 적대감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기보고식 설문방식의 측정으로 인한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속변수는 시차를 두고 별도로측정하였으며 구성원의 개인차 요소인 특성 적대감과 직무상황에서의 정서 상태(긍정정서, 부정정서)를 함께통제변수로 채택하여 리더의 분노 표출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반응을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하였다. 자료의분석은 국내 300인 이상 규모의 다양한 업종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획득된 335부의 설문지를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리더의 분노 표출은 조직 구성원의 분노 반추와 상태 적대감을 순차적으로 경유했을 때 침묵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리더의 분노 표출이 조직 구성원의 침묵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이 아니라 리더의 분노 표출이 조직구성원의 분노 반추와 상태적대감의 심리적 매커니즘을 경유하여조직 구성원의 침묵행동을 유발한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이를 통해 리더의 분노 표출이 조직 구성원의어떠한 인지적 과정과 태도 과정을 경유하여 조직과 리더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가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연구 결과와 관련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