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사회적경제 규모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사회적경제 조직체는 주무 부처와 근거 법률을 기준으로 크게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의 규모를 종속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전반적인 사회적경제의 규모를 측정하기 위하여 두 변수를 통합한 요인점수를 마지막 세 번째 회귀모형의 종속변수로 활용하였다. 회귀모형의 독립변수는 사회과학이론의 검토를 통하여 추출하였다. 실증분석모형은 공간회귀모형이 활용되었는데 이는 사회적경제의 지역성과 연대의 가치를 고려한 것이다. 공간회귀모형의 추정결과, 지역경제의 규모는 사회적경제의 규모와 갈등 관계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민간이전지출과 지방자치단체 안의 비영리 단체 입지 규모는 모두 사회적경제 규모와는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회과학이론에 따르면 가장 강력한 지표 중 하나인 지방자치단체의 인구 구조 다양성(이질성) 지표는 사회적경제 규모와 큰 관련이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drivers of size of social economy in Korean municipalities. The size of social enterprises and co-operatives, and factor scores which combined the size of such two social economy entities are uses as dependent variables. Using spatial regression models, independent variables derived from social science theories a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the size of local economy is in conflict with the size of social economy, and expenditure for private transfers and the size of non-profit organization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ize of social economy. On the other hand, diversity index which is expected to be the most powerful variable by previous studie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