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남양주시 사회복지전달체계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거버넌스 유형의 구조적 속성이 협력의 효과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거버넌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네트워크 유형을 구분하거나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분절적으로 이루어지는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논문은 Milward와 Provan의 네트워크 논의를 바탕으로 남양주 내 공공・민간 조직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유형을 구분하는 한편, 연계망 내 조직 간 협력의 밀도와 강도가 협력의 경험과 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남양주의 91개 조직을 대상으로 2017년에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분석과 위계적 선형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남양주의 사회복지전달체계는 소수의 중재자를 중심으로 한 주도조직 중심 네트워크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네트워크 내 조직들은 많은 협력을 할수록 경험과 성과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나, 높은 수준의 협력은 오히려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졌으며 중재자인 희망케어센터를 통할 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부정적 인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중재자를 제외한 민간 조직들 간의 약한 관계(weak tie)와 최근의 행정개편으로 인한 중재자 수의 증가가 협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이어지는 매커니즘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network governance model of public/private organizations in Namyangju city have an impact on effectiveness of collaboration i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which is the innovative service delivery model in South Korea. Using 2017 survey data of 91 social service related organizations, this study examines that Namyangju social service network belongs to ‘lead organization-governed network’ model, and the Hope Care Centers function as brokers in network governance. Also, the result reveal that the number of collaboration among organizations has a positive effect to the perception of collaborative experience and performance, however, the strength of collaboration has a negative impact. This can change to support positively to effectiveness doing with the Hope Care Centers. After interviewing with social workers, the negative results is because of weak tie between organizations except Centers and administrative reform in the Hope Care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