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후설 현상학의 철학적 정체성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개념에 닿아 있음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론 후설은 현상학적 철학의 전체적 성격을 이전 시대의 그 어떤 철학에서도 발견하지 않았다. 이렇게 현상학적 철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개념 영역에 기반한다고 후설에 의해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에토스와 로고스의 연관 관계에 서있는 프로네시스 개념과 일련의 현상학 입문에서의 ‘생활세계로부터의 학문’이 사실상 동일한 구조와 의미를 지닌다고 이 글은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프로네시스 논의를 이에 대한 선행연구와 함께 조명한다. 이 결과 프로네시스는 에토스적 덕과 상호 규정하는 관계에 서 있으며 반면에 소피아는 에피스테메와 직관의 종합 능력임이 드러난다. 이의 뜻으로 소피아적 지성은 프로네시스적 지성과 달리 후설의 용어로는 고향상실, 생활세계 망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 논의된다. 이어서 후설의 여러 저서를 놓고 논의를 진행하여 현상학적 철학은 생활세계로부터의 학문에 그 근본적 의미가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하여 생활세계로부터의 학문이란 프로네시스 개념이 서있는 에토스와 로고스의 연관성과 의미로 보면 사실상 동일한 맥락임이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hilosophical identity of Husserl’s phenomenology according to Aristotle’s concept of phronesis. Of course, Husserl did not find the fundamental nature of phenomenological philosophy in any philosophy of the previous era. Despite the fact that phenomenological philosophy is not explicitly mentioned by Husserl as being based on Aristotle’s concept of phronesis, I will discuss that the concept of phronesis in the close correlation of ethos and logos has the same structure and meaning as ‘Wissenschaft von der Lebenswelt, science from the life-world. To this end, we first examine the phronesis of Nicomachean ethics together with previous research on it. As a result, phronesis is in a mutually regulating relationship with ethos, while sophia is found to be a combined ability of episteme and intuition. In this sense, it is discussed that the sophia-based intellect can cause ‘Lebenswelt-Vergessenheit’, oblivion of the life-world in Husserls terminology, unlike the phronesis-based intellect. Then, I deal with Husserl’s various books and show that the phenomenological philosophy has its fundamental meaning in ‘Wissenschaft von der Lebenswelt’.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Wissenschaft von der Lebenswelt’ is in fact the same as the correlation of ethos and logos standing on the concept of phron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