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세계 시민적 관점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에서 사용된 ‘자연의 계획’ 개념의 지지 근거를 모색한다. 『보편사』에서 이 개념은 역사의 진보에 대한 희망을 뒷받침하는 논거로 사용된다. 다만 이 개념 자체에 대해서도 문제제기가 가능한데, 이에 대해 가능한 응답을 『판단력비판』의 제2부로부터 발견할 수 있다.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에서 칸트는 목적 인과의 사용 원리를 밝히며 이에 의해 자연을 합목적적 전체로 파악한다. 자연은 예지적 인간의 현존이라는 궁극 목적 아래에서 하나의 체계로 구성된다. 자연은 인간의 문화적 현존이 가능한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궁극 목적에 기여한다. 역사는 자연의 토대로부터 인간이 문화를 계발하며, 이에 의해 자기의 자연적 경향성을 교정하고 도덕적 존재로의 도야를 이루는 과정이다. 따라서 역사는 합목적적 자연이 자기의 궁극 목적을 실현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이는 목적 인과에 의한 추론을 자연 및 역사에 대한 직관에 적용함으로써 지지된다.


In this study, I search for the basis of the concept of the ‘plan of nature’ used in Idea of a Universal History with a Cosmopolitan Purpose. Herein, ‘plan of nature’ provides the basis for hope for the progress of history. However, the concept itself is so problematic, that further justification needs to be provided. To this purpose, I involve the second chapter of Critique of Judgment. Through critique of teleological judgment, Kant develops the principle of teleological causality, and thereby regards nature as a purposive whole. Nature constitutes a system under the ultimate purpose of intelligible humans, which Nature contributes to by providing the foundation of culture. History is the process through which humans develop their own culture from the natural foundation, and then educate themselves for morality while restraining their natural inclination. Thereby history becomes the part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purposive nature fulfills its ultimate purpose. It is supported by the application of purposive causality to the instinctive knowledge [Anschauung] upon nature and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