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불교 의식에서 사용되는 범패는 신라시대부터 연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삼국유사』 ‘월명사 도솔가’조와 <진감선사대공탑비문>의 범패에 관한 8~9세기의 기록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종교의 특성상 불교가 국가적으로 공인된 4세기 이전의 초전불교 시기에도 불교 의식과 이에 따른 음악은 존재했을 것이다. 다만 기존의 불교음악 역사 기술은 좁은 의미의 불교음악, 즉 범패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불교음악의 역사를 8~9세기부터로 추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넓은 의미의 불교음악은 범패만이 아니라 각종 의식에서 연행하는 노래이고, 이런 음악은 8~9세기 이전에도 이미 존재했다. 이글에서는 『삼국유사』에 나타난 각종 불교음악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신라시대 불교음악의 역사를 재고하고자 한다. 『삼국유사』에는 다양한 종류의 염불이 기록되었다. 대부분의 염불은 불타의 명호를 입으로 부르는 칭명염불이고, 일상적인 심상염불이고, 산란심을 제거하기 위한 산심염불이다. 이외에도 2월 8~15일에 탑돌이를 거행하면서 행하는 별시염불도 기록되었다. 『삼국유사』에는 다양한 게도 기록되었다. 게는 주로 1구 5자의 2구, 4구, 8구 형식의 한시로 된 것이다. 이외에 범어를 1구 5자의 한시로 한역한 게도 존재하고, 범어로 된 게를 그대로 한역한 게도 존재한다. 또한 『삼국유사』에는 원효의 거사소리가 기록되었지만, 거리에서 악기를 연주하면서 춤을 추었던 차득공과 부궤화상 혜공도 거사소리 형태의 노래를 불렀을 것이다. 즉, 『삼국유사』에는 염불, 게, 거사소리 등의 다양한 불교음악 갈래가 기록되었다. 오히려 『삼국유사』에는 <진감선사대공탑비문>에 기록된 ‘범패’나 ‘어산’이라는 용어는 없다. 『삼국유사』의 ‘범음’은 ‘범어로 된 게’라는 의미로 쓰였다. 월명사의 ‘성범’은 불교의 초전과 더불어 유입된 범어 범패로 추정된다. 진감선사가 당나라에서 범패를 배워온 9세기 이전에 신라에는 당나라식 범패는 존재하지 않았다. 오히려 한시나 범어의 한역으로 된 염불과 게가 7~8세기에 신라에 성행했다. 또한 원효의 거사소리는 민중들에게 불교 포교를 위한 신라어로 된 노래였을 것이다. 결국, 불교음악을 범패로만 소극적으로 한정하지 않고, 염불, 게, 거사소리 등을 포괄하는 적극적인 넓은 의미로 확장해야 신라시대 불교음악을 제대로 밝힐 수 있다. 불교가 삼국에서 국가에 의해 공인되기 이전, 즉 초전된 시기부터 이미 불교 의식에서는 음악이 함께 했을 것이다. 그리고 진감선사의 당나라식 범패가 들어오기 이전에 중국을 통해 들어온 범어 또는 한자로 된 염불과 게와 신라어로 된 거사소리가 이미 존재했다.


The Buddhist music is believed to be appeared in Silla Dynasty in the 8th to 9th century based on records in Samguk Yusa and the scripts in the Stupa of Jingam Seonsa. However, the music might has existed prior to the 4th century when the Buddhism was approved as the state religions in the Three Kingdoms. The history of the beginning of the Buddhist music in the 8th century is the result of the narrow viewpoint to focus the beompae, meaning “Sanscrit songs.” However, the Buddhist music encompasses other genre of music performed in the Buddhist rituals and ceremonies.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various records regarding the Buddhist music in wider meaning in Samguk yusa in order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Buddhist music during the Silla Dynasty. There are various kinds of Buddhist music recorded in Samguk yusa. The yeombul (Buddhist sutra) is the most often referred music in Samguk yusa. It is used to praise the Buddha’s achievements and is performed in various rituals. Other type of song is ge (Buddhist chant)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Still other type of song is geosa sori (folksong-style song) to promote the Buddhism to the common people. Rather, the word beompae is not found in Samguk yusa. It is sure that the Chinese Tang dynasty style Buddhist music had not been exist when Jingam seonsa brought it in the 9th century. Rather, the various kinds of sutra, chants, and folksong-style songs were popular among the people in the Silla dynasty. We should encompass the wider meaning of the Buddhist music in order to enlighten the history of the Buddhist music in the Silla Dynasty. The music should be existed before the Buddhism was recognized as the state religions in the Three Kingdoms. According to Samguk yusa, it was not beompae but yeombul, ge, and geosa sori performed in the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ang-style music in the Silla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