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수륙재 감로탱화의 공공성을 다루고자 크리스토퍼 고원(Christopher W. Gowans)이 사 바세계와 열반을 이어주고 매개하는 ‘불교의 공공행복’에 주목한다. 수륙재 감로탱화(Nectar Ritual Painting, 甘露幀畵)는 영혼을 천도하는 불교의식에서 사용한다. 감로탱화의 구도는 상․중․하 단(段)으로 구분되어 사회참여 공공성과 초월지향 공공성으로 공공행복을 추구 하면서 상승과정을 보인다. 이러한 상승과정에는 과거(下段)에서 현재(中段), 그리고 미래(上 段)로 이어지는 삼세의 여행으로 이루어진다. 주로 일주일 주야 거행되는 수륙재는 단계별 이적(異蹟)과 더불어 의식 클라이맥스에 해당하는 아귀해갈 장면에서 절정을 이룬다. 아귀에 대한 공공구제 장면은 대중들에게 의식 효험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가운데 영혼천도 의식 의 초월적 공공성을 시각메시지에 담고 있다. 불교의 공공행복은 공공성 구현으로 드러난다. 공공성은 공․사 상호관계에 의한 사회참 여 공공성과 상호 대립관계를 벗어난 초월지향 공공성으로 나타난다. 사회참여 공공성은 공 ․ 사 관계가 참여적 공공성으로 드러난다. 불교 신념체계에 따라 이기심을 극복하고 사적 으로 전락한 공적 과정도 변증법적으로 넘어서고자 초월지향의 공공성으로 드러난다. 수륙 재 감로탱화는 공․사를 아우르는 사회참여 공공성과 초월지향 공공성이 함께 드러나는 특 징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public common meaning of Nectar ritual painting in Water land ritual. We can find the social participatory publicness in the Water land ritual to identify the public nationwide and private spontaneous participation as social participatory publicness. Firstly. Lee Taejo’s most important Buddhist protective policy had been national water land ritual. He had held national Water land ritual at the Samhwa temple in 1395, and at the Jingwan temple in 1397. The national Water land ritual had been recognized as national background with private pray to materializing hope to opening the public through life respect around the essentiality of social publicness. Secondly, Nectar ritual paintings are buddhist paintings used in ceremonies for the dead. The paintings contain depiction of Buddha in the upper part, and scenes related to the dead rituals in the middle part. The lower part shows scenes of beings in the six paths of transmigration, focusing on the human level. It reflects the gruesome lives of those who lost their jobs and roamed around those who had been dead from starvation and diseases. The conviviality is considered to be the attitude of sharing life’s thirst with others in transcendent oriented publicness. Thirdly, The publicity meaning of Nectar ritual painting in Water land ritual is regarded as social participatory publicness of public solidarity leads to a few controversies between 'something public' and 'something private'.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ublicness, we need to consider the public common succor such as benefit to others including self interest through the mediation the private with the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