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국 고대 도읍에 관한 각종 문헌과 현지조사를 통해 고대 도읍에 적용된 풍수의 원형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함양과 장안을 중심으로 현지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고전 풍수이론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중국 고대 도읍은 중국 고대 천문학과 『역경』 및 점복의 사상이 반영되었다. 고대 천문학에서 중심지는 황제의 거처인 자미원과 자미원을 둘러싼 태미원, 천시원이다. 이 중 태미원은 문무대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국 고대 도읍은 태미원의 형세를 구하려는 것이었다. 또한 『역경』의 乾卦를 형상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의 규모인 規局을 중시하였다. 풍수고전서에도 陽基의 경우 규국의 크기를 중요시 하고 있는데 이는 도읍의 인구규모를 고려한 것으로 현대 입지론에서도 타당한 것이다. 셋째, 풍수고전에서도 물을 산보다 우선한다고 하였는데 중국의 고대 도읍도 산보다는 물을 우선하였다. 이는 결국 강을 통한 수상교통로의 확보, 생활용수의 공급 및 강을 통한 자연적인 군사방어적 측면까지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중국 고대 도읍은 음택풍수의 산 중심의 사신사가 아니라, 북쪽에 산, 동쪽에 강, 남쪽에 연못, 서쪽에 도로가 있는 양택풍수 사신사인 山川道澤이 적용되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볼 때 함양궁의 배산임수의 지세와 관중분지로 인해 藏風에 유리한 점, 그리고 周, 漢, 隋․唐의 도성들이 각각 두 물줄기 사이에 위치한 眞龍의 형태라는 점 등이 전통 풍수 이론과 부합한다. 그러나 秦의 궁궐이 위수의 남북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는 점과 장안이 뒤에는 강이 있고 앞에는 산이 있는 背水臨山의 지형이라는 점 등은 음택풍수가 아닌 양택풍수의 원리와 부합한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prototype of fengshui applied to the ancient capital based on various documents and field survey of Chinese ancient capital. For thi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ield survey mainly over Xianyang and Changan, and was compared it with classical fengshui theory.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ly, Chinese ancient capital was reflected with Chinese ancient astronomy, 『Yeokgyeong』, and Jeombok idea. The central areas of ancient astronomy were Jamiwon, the emperor’s residence, Taemiwon, and Cheonsiwon, which surrounded Jamiwon. Among them, Taemiwon implied literary and military officers, and Chinese ancient capital pursued the topography of Taemiwon. Also, it embodied Geonwae(乾卦) of 『Yeokgyeong』. Second, it highly regarded Gyuguk(規局), the scale of city. In the classical fengshui books, also, the size of Gyuguk was highly regarded in respect of Yanggi(陽基), and considering the population of capital, this was valid in modern location theory also. Third, classical books about fengshui also mentioned that water took priority to mountain, and Chinese ancient capital also put water above mountain. This eventually implies that they considered natural military defensive aspect as well as securement of waterway traffic and living water through the river. Fourth, not Sasinsa mainly with mountain based on Eumtaek fengshui(陰宅風水), but Sancheondotaek(山川道澤), which was Yangtaek fengshui(陽宅風水) Sasinsa, which had mountain in the north, river in the east, pond in the south, and road in the west, was applied to Chinese ancient capital Concretely, the topography of Baesanimsu(背山臨水) of XianyangPalace, the advantageous Jangpung(藏風) due to Gwanjungbunji and the shape of Jinryong(眞龍), having the capitals, Zhou(周), Han(漢), Su(隋)․Tang(唐), located between two streams respectively, etc. coincided with traditional fengshui theory. However, the points that the palace of Chin(秦) was located through the south and the north of Weisu and Changan had the topography of Baesuimsan(背水臨山), with the river in the rear and the mountain in front, coincided with the principle of Yangtaek fengshui, instead of Eumtaek fengsh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