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title of this paper might suggest to some readers Kant’s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This is intended. Correspondingly, what I will attempt here is to present a reflective version of Kant’s path which led him to the idea and need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in the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The following will be somewhat free and speculative, but entirely loyal to Kant’s spirit. In doing this I will use help from Thomas Hobbes, Richard Dawkins, and Victor Frankl. I believe that such a reflection on Kant’s path can have a meaning of its own. Furthermore, it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debate about the artificial process of making human beings entirely homogeneous and perfect with respect to their bodies and intelligence, that is, for the so-called transhumanism or posthumanism debate. As far as I can discern, the ultimate reason for Nick Bostrom,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transhumanism movement, for pursuing the process without limits and so in the end producing an all-mighty superintelligence called “posthuman” is its inevitability due to the following foreseeable danger and subsequent fear: that otherwise, it would be possible for some evil minds to produce it ahead of us and then enslave us. I think that, if this is really the situation in which we find ourselves now, we must be said to be really in a very miserable state. If so, then it is worth thinking back and trying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why we have started pursuing the process of perfection, what in fact we are doing in doing so, and what basic problems this might have. A reflection on Kant’s path to the idea and need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can help us. For this purpose, my reflective version will be attuned to this aim.


본 논문의 제목은 독자들에게 칸트의 『도덕 형이상학 정초』를 연상시킬 수 있다. 이는 의도된 것이다. 이에 상응하게, 나는 그곳에서 칸트가 도덕 형이상학에 대한 아이디어와 그것의 필요성에 이르게 된 과정에 대한 반성적인 버전을, 어느 정도 자유롭고 사변적이기는 하지만 칸트의 정신에 충실한 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는 홉스와 도킨스 그리고 프랭클의 도움을 빌 것이다. 나는 그러한 반성이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 더 나아가, 나는 그것이 인간의 지적 신체적 능력을 인공적으로 완전하게 만드는, 따라서 결국 모든 인간이 완벽하게 동형 동질화 되어갈 수 있는 과정에 대한 논쟁, 이른 바 트랜스 또는 포스트 휴머니즘 논쟁 일반과 관련해서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파악한 바로는, 트랜스 휴머니즘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 가운데 하나인 닉 보스트롬이 완전화 과정을 끝까지 추구해야 하는 그래서 마침내 전능한 슈퍼 인텔리젼스를 만들어야 하는 궁극적인 이유로 제시하는 것은 예측할 수 있는 위험과 이에 따른 두려움에서 기인된 불가피성이다. 즉 그러지 않을 경우, 사악한 마음을 지닌 자들이 우리보다 먼저 슈퍼 인텔리젼스를 만들어 우리를 노예와 하게 될 것이라는 위험과 이에 따른 두려움 말이다, 나는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상황이 실제로 이렇다면, 우리는 참으로 참담한 상황에 놓여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우리 자신을 뒤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왜 우리가 완전화 과정을 추구하게 된 것인지, 그것을 추구하면서 실제로 우리가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떤 근본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얻도록 노력해야 할 적기라고 생각한다. 칸트가 도덕 향이상학에 대한 아이디어와 그 필요성에 이르게 된 과정에 대한 반성은 우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나의 반성적 버전은 그러한 목적에 맞추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