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Bennett 등(2016)의 회복경험 유형탐색 연구를 국내 직장인들에게 적용하여 회복경험 유형의 종류를 살펴보고, 각 회복경험 유형에 따라 인구 통계적 특성, 직무 특성 및 웰빙 특성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직장인 47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Sonnentag과 Fritz(2007)가 제안한 네 가지 회복경험(심리적 분리, 휴식, 자기성취, 여가시간 동안의 통제)에 ‘문제해결 숙고’를 포함시켜 다섯 가지 하위요인을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회복형’, ‘중간형’, ‘피곤형’ 세 가지 유형이 확인되었다. 세 유형 모두 연령, 결혼여부, 자녀의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형별 직무 특성 변인들(직무요구 및 직무자원)과 직장인 웰빙 변인들(직무열의, 정서고갈, 수면)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Bennett 등(2016)의 연구와 비교하여 국내 직장인들의 평소 퇴근 후 회복경험에 대해 논의하고,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replicate Bennett et al. (2016)’s study that investigated the profiles of recovery experiences among U.S. employees. A sample of 472 Korean employees was surveyed on their four recovery experiences(psychological detachment, relaxation, mastery and control; Sonnentag & Fritz, 2007) and problem-solving pondering during typical leisure time. By adopting person-centered approach using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e identified three profiles of recovery experiences: Recovery, Intermediate, and Fatigue Profi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three profiles in demographics(age, marriage status, and the number of children) and job conditions(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well-being outcomes(work engagement, emotional exhaustion, sleep quality).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ose of Bennett et al. (2016),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