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진로타협에 있어서 개인차를 반영하는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를 국내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내적 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진로관련 요인들과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본 척도가 남녀 집단에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모형의 동일성과 잠재평균검증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총 456명의 남녀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368명을 대상으로 6개월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들은 온라인 설문을 통해 한국어로 번안된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에 응답하였으며,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와의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대학생 진로타협척도, 청년 실업자를 위한 진로타협척도, 타협으로 인한 진로가치 불일치 척도, 진로포부척도, 진로적응성 척도도 함께 실시되었다.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량이 낮은 1개의 문항을 제외한 8개의 문항들의 단일요인구조가 지지되었으며, 내적 일치도와 안정적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남녀 집단차와 관련해서는 형태동일성, 측정단위동일성, 부분절편동일성이 성립되었으며 잠재평균분석 결과 여자대학생 집단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진로타협경향성은 두 유형의 진로타협척도와 정적 상관을, 내적 진로가치 불일치, 진로포부 및 진로적응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판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가 전반적으로 원척도와 유사한 심리측정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남녀 대학생 집단 모두에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validated the Willingness to Career Compromise scale measur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tendency of career compromise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the factor structur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ith career variables were examined.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s between men and women. A total of 456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368 participants returned for test-retest reliability in 6 months. They completed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Willingness to Career Compromise scale, career compromise scale for college students, career compromise scale for unemployed youths, career value discrepancy scale,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 The results supported one factor structure with an exception of one item. The results also provided the evidence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stest reliability.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yielded configural, metric, partial scalar invariances across genders. Women reported a higher latent mean than men. Moreover, the Willingness to Career Compromise scale was positively related to two types of career compromise measures, and negatively with internal value discrepancy,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Willingness to Career Compromise scal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original scale in general, and it is appropriate for being used across gen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