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산업재해를 입은 근로자 중 원직에 복귀하지 못한 산재근로자의 재취업에 성공하기까지의 기간 및 그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산재보험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요양종결 이후 재취업에 성공하기까지의 기간을 분석한 결과, 원직복귀자를 제외한 산재근로자 중에서 1개월 이내 재취업에 성공한 비율은 6%, 3개월 이내 13%, 6개월 이내 21%, 1년 이내 41%, 2년 이내 69%, 3년 이내 78%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자격증, 요양기간, 장해등급, 건강회복정도 등으로 나타났으며, 학력, 재해당시 고용특성(직종, 종사상지위, 임금수준), 재활서비스 이용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직에 복귀하지 못한 산재근로자의 재취업 소요기간을 감소시키고 재취업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취업취약계층에 특성화된 직업복귀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요양이 불필요하게 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검토하고, 직업재활서비스의 직업복귀에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서비스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causes of the time to re-employment of the injured workers after a claim closure. This study uses workers’ compensation panel data. The life table method is used for describing the patterns of the time to re-employment after a claim closure. And the Cox regression is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on the time to re-employment after a claim closure. The results show that among injured workers except original return-to-work, the 6% re-employed within 1 month, 21% within 6 months, 41% within 1 year, 69% within 2 years, 78% within 3 years after a claim closure. And the Cox regression results of the time to re-employment show that the time to re-employment was affected by gender, age, marital status, certificate, claim duration, disability ratings, and the level of health recovery, but wasn’t affected by education level, job, employment type, income before injury,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ocio-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s. As a result, some implication and policies are suggested for reducing the time to re-employment and promoting re-employment of the injured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