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정신화와 정서기반대처가 매개하는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대구, 광주, 부산, 울산, 경기, 충청, 전라, 경상, 제주 지역의 성인 72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인관계 외상경험 질문지, 정신화 척도, 정서기반대처, 외상 후 성장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 외상은 정신화, 정서기반대처, 외상 후 성장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 외상이 외상 후 성장으로 가는 과정에서 정신화와 정서기반대처가 이중매개로 하여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 외상경험에 대해 성격적 요소로 정신화를 발휘한다면 정서를 허용하고 교정적 정서체험을 하도록 하는 정서기반대처를 하여 외상 후 성장을 높일 수 있음을 밝혔다. 이로써 외현화, 정서조절, 대인관계 문제를 호소하는 향후 상담 실제에서 정신화와 정서기반대처의 탐색과 구체적 개입의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mediates the process of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in post-traumatic growth (PTG), mentalization, and emotion-based coping. Participants included 729 adults from Seoul, Daegu, Gwangju, Busan, Ulsan, Gyeonggi, Chungjeong, Jeonla, Gyeongsang, and Jeju who completed the interpersonal trauma questionnaire, mentalization scale, emotion-based coping, and PTG scale. Resul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terpersonal trauma, mentalization, emotion-based coping, PTG, and amul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 and PTG, mentalization and emotion-based coping were mediated by dual mediation. Based on these results, emotion-based coping will occur if mentalization is a personality factor in interpersonal trauma. This not only implies that emotional acceptance and emotional experience in counseling can enhance PTG but also provides useful data specific to interpersonal trau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