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는 우리나라에 서 홀몸노인의 무연사(무연고사망자)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극복하 기 위해 새롭게 재구성되어야 할 노인의 ‘탈인습적 기독교 자아정체감’과 ‘탈인습적 교육과정’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 문제를 단순히 사회적·경제적 및 가족 부양의 책임 등 사회 구조적 차원의 이해를 넘어 노인의 인지적 관점에서 창조적인 성숙한 자아존중감을 획득하고 노인 무연사에 대한 죽음 불안을 극복하는 예방적 차원에서 그 필요성을 지적한다. 노인 기독교(종교)교육은 노인학습 자들이 신앙공동체 안에서 수행되는 교리문답에 의한 인습적인 주입식 교육 의 한계를 넘어 ‘탈인습적 자아정체감’ 획득을 위한 주체적이며 창조적인 학습자로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하며, 교육내용으로는 ‘탈 인습적’ 형태로서 세 가지 주요 핵심 원리인 1) 소그룹 내에서의 연대를 중 시하는 ‘관계성’(relationality), 2) 인종 및 성차별 없이 다양한 목소리를 존 중, 경청하는 비 위계(권위)적인 ‘평등성’(equality), 그리고 3) 자기 및 타자 의 자아통합적 이해와 실천적 프락시스를 수행하는‘개방성’(openness)을 기 초로 한 ‘탈인습적 교육과정’ 모형 곧, 1) 내러티브(이야기)방식을 통한 토마 스 그룸의 ‘관계적 교수-학습모형’, 2) 침묵을 깨고 다양한 목소리를 존중하는 프레이리의 ‘프락시스 교수-학습모형’, 그리고 3) 다양한 재능을 인정, 통 합시키는 가드너의 ‘수행적 이해를 추구하는 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한다. 교 사는 특히 ‘비형식적’ 교육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노인 학습자들의 단절과 고립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그들의 관심사와 학습 욕구가 무엇인지 그 리고 그들의 축적된 경험 및 지혜 등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도 및 관찰 등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to propose a postconventional curriculum to create a new perspective of Christian identity for the elderly through understanding the ‘non-relationship’ death of elders living alone in Korea (who died without any relation of circumstances). Since it is vital for the elder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life of self-integration and the death education in aging era,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elders to build postconventional curriculum. Recently, Korea has rapidly adapted to the terms of the ‘non-relation- ship’death that came from the Japanese society, which has entered a su- per-aged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points out the need to gain a mature sense of self-respectiveness for their lives from an individual's cognitive point of view and to overcome the death anxiety beyond the understanding of so- cial diseases.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Korea becoming a super-aged society, this study will discuss the purpose, content of education, and teach- ing models for the new forms of ‘postconventional identity’and ‘postconventional curriculum’for the Aged learners of Christian Education in recently. The purpose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for elderly is to en- able the elderly to acquire the “postconventional identity” as a self and crea- tive learners beyond the conventional doctrine of education carried out in the christian community. Also, the content of education includes three key principles in the form of “postconventionality”:1) “relationality”for solidarity within small groups, 2) “equality”of non-authority who respects and listens to various voices without racial or gender discrimination, and 3) “openness” that performs self-integrated understanding and practical praxis about self and others. Also the models of “ postconventional curriculum “ would like to propose as follows, 1) The connected Teaching model by Thomas Groom through the Narrative(story) of method , 2) Praix model by Paulo Freire that breaks the silence and respects various voices, and 3) The Understanding of Teaching model by Howard Gardner that promotes a diverse range of talents. Teachers, above all, should support their learning needs and experi- ence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learners in a non-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