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김종삼 초기 시의 의미를 밝히고자,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에 실린 시 열 편을 대상으로 주체와 타자를 정신분석학적 위상학의 관계에서 살펴본다. 첫째, 타자를 호명하여 상상적 동일시를 하는 주체는 크로스 캡의 위상을 갖추고 있다. 과거와 현재의 시제가 교란되어 있는 상황 속에서 드러나며, 배경을 묘사함으로 타자를 상상하게 만든다. 둘째, 익명적 타자와 무의식적인 동일시를 하는 주체는 뫼비우스의 띠 위상을 갖는데, 주체와 타자가 자연스럽게 교체할 수 있는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셋째, 타자와 경계가 없는 무한히 동일한 주체는 클라인 씨의 병 위상으로, 주체와 타자 모두 텍스트에서 명시적으로 구체화되지 않았으며, 이들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모든 방향에서 변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김종삼 시가 주체와 타자 모두의 목소리를 동시에 표현하고 있음을 드러내며, 이러한 다성적 목소리가 김종삼 시의 일차적 문자 해석이 불가능한 원인임을 확인시켜 준다. 여기서 김종삼이 주체의 목소리만큼 타자의 소리에 관심을 갖고, 타인의 시선에서 세상을 보려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김종삼 시에서는 주체 중심의 세상이 아닌, 주체와 타자의 공존의 세계를 읽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meaning of early works from Kim Jong-sam, foc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and others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topology. In order to reach the goal, this study reviews 10 poetries from Wars, Music and Hopes. First, the subject has topology of cross-cap, who calls the others and imaginarily identifies him or her with the others. The text of poetries becomes known in disturbed present tense with past tense and makes us to imagine the others, describing the background. Second, the subject, who unconsciously identifies him/her with anonymous others, uses Mobius strip topology where the subject naturally replace the others. Third, the subject, who identifies himself/herself with others to an unlimited extent, uses Klein's bottle topology. In here, the text does not proposedly articulate the subject and the others, rather it shows that they convert to each other from every hand, transcending time and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