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이광수의 처녀작 「사랑인가」의 일본어 글쓰기를 분석한 것이다. 1909년 ‘한국 유학생 이보경(李寶鏡)’의 아명으로 『시로가네학보(白金學報)』에 발표된 「사랑인가」는, 일본어소설로 출발한 이광수 문학의 시발점의 의의가 있다. ‘일본인되기‘의 강박 관념이 작용하는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 집중된 ‘고쿠고(國語)’로서의 일본어 글쓰기와는 달리, 일본어 독자를 대상으로 한 「사랑인가」는 일본의 유학생인 타자로서의 개인의 고독한 이문화 체험과 결부된 것이다. 따라서 종래, 동성애를 중심으로 고찰된 「사랑인가」의 수용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한국 유학생’과 일본어 네이티브 소년 사이의 ‘사랑(愛)’의 함의를 탐색했다. 또한 이광수의 초기 문학과의 연관성 속에서 소년 개인의 내면에 초점을 둔 ‘탈계몽’의 작품 특질이 일본어 독자의 의식성에 촉발된 것임을 살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hort story “Love?” the first work of Lee Kwang Soo by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in the Japanese Writings. In 1909, the “Love?” was published in Shiraganegakuho journal, the work is a worthy Japanese Writing as starting point of Lee Kwang Soo’s literature, ‘Korean student studying abroad Lee Bo Kyung’ of his original name in Japan. In the late 1940’s, there was an obsession of Japanese as the national Language of colonial Korea who were forced to write in Japanese, “Love?” was a colligated experience of cross-culture solitary of individual for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In this respect, previous studies of “Love?” focused on constructing homosexuality, to survey meaning of love between the ‘Korean student studying abroad’ and the Japanese native. Furthermore, this study clarified the character work of de-enlightenment of Japanese reader’s awareness, focusing on the individual’s mind, in relation to Lee Kwang Soo’s early writings.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focus on the bilingual consciousness of Lee Kwang 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