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예기천견록』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경과 전의 체제로 재구성된 편을 중심으로 『예기천견록』의 기획의도를 미세하게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전되어 왔을 뿐, 『예기천견록』 전체를 대상으로 체제 재구성의 면모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본 논문은 분장 또는 분절 관련 사항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뒤 관련 경문을 유형화하여 장과 절에 재배치한 편들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예기천견록』은 『예기』의 항목들을 유형화하여 체계 지우고 궁극적으로는 경과 전의 체제로 재구성하려는 기획의도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지만 일부의 편에서만 그러한 의도를 관철하였을 뿐 미완으로 마무리된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근의 경학적 탐구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고대 유가경전을 성리학의 이념에 입각하여 재해석하려는 사상운동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The existing research on Liji-Qianjianlu has progressed in the direction of micro-analysis of it’s planning intentions. However, there was no empirical analysis of the aspect of Liji-Qianjianl’s system reconstruction for the whole.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ts where the chapters were divided, the sections were distinguished, and the related sentences were typified and relocated. Liji-Qianjianlu had a plan to rearrange the sentences in Liji in the context of Jing-Zhuan, but it was an incomplete work that carried out such intentions only on some sides. However, Kwon Keun'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ideological movement in which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reinterpret ancient confucian classics based on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