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관광해설사의 직무 환경이 직무 만족 및 일자리 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문헌 연구로는 문화관광해설사에 대한 개념, 이론 등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기간 및 설문지 배포는 2017년 12월 10일~17일동안 문화관광해설사회정기총회 및 권역근무지를 순회하면서 배포 및 회수하였으며, 2017년 12월 18일~19일까지 충남관광모니터단의 워크숍에 참석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00부를 배포하였으며, 결측값이존재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지 65부를 제외한 13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기법으로는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복리후생, 교육환경, 정보환경 등의 직무환경 가설설정요인들이 직무 만족 및 일자리 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환경과 직무 만족 및 일자리 창출과의 관계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이고중요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문화관광해설사의 직무만족을 위한다수의 선행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직무환경과 문화관광해설사 관련 일자리 창출에 대한 조사연구는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문화관광해설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이 효과적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의 연구는 장기적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측정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설 모델을 보다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cultural tourism commentator’s job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creation.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concepts,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 of cultural tourism commentator. The survey was distributed from December 10th to December 17th, 2017 during the regular community meetings and year-end business hou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8th to December 19th, 2017, by attending a workshop of the Chungcheongnam-do Tourism Monitor Team. A total of 2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or data collection. Of the 200 copies, sixty-five were excluded due to missing values or insincere answers. A total of 135 copies (68%) were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all the hypothesized factors such as benefits, educ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environment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job creation. There is also a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creation.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done exploring job satisfaction in cultural tourism commentator, few investigations have been done on job environment and job creation of culture tourism commentator. This study expects that the study of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job creation for culture tourism commentator. Future studies are necessary to examine the hypothesized model of relationships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from long-term approa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