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형 회계법인에 소속된 세무사나 회계사 중 세무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세무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이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다. 먼저 직장-가정 갈등의 두 가지 구성요소인 직장생활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갈등(work to family conflict:WFC), 가정생활이 직장생활에 미치는 갈등(family to work conflict:FWC) 각각에 대해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SMART PL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WFC 갈등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대부분의 이전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 반면에 FWC 갈등은 직무만족이나 이직의도와 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회계법인들은 그들이 고용하고 있는 세무전문가들의 직장-가정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직무불만족이나 이직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회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수익성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성별이나 맞벌이 여부에 따른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분석한 결과, 기대와는 달리 여자보다는 남자에게, 맞벌이보다는 홑벌이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본연구의 표본에 있는 세무전문가의 대부분이 미혼으로 직장-가정갈등이 거의 없고, 기혼자의 경우 맞벌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나 성취감이 그로 인하여 생기는 갈등보다 더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반면, 결혼여부에 따른 추가분석의 경우 예상대로 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들은 연구대상자 즉 표본종류와 광범위한 범위의 직무와 관련된 산출물과의 조합에 따라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세무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타 연구 결과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가 국내에서의 전문인 집단에서의 갈등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향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인간의 다양한 갈등관련 연구의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특정지역과 특정시점을 기반으로 한 표본조사에 의한 설문지 조사방법으로 인한 한계점과 세무전문가의 직무만족과이직의도에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수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도 존재하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제안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tax professional, tax accountant and/or CPA(Certified Public Accountant), belonging to the large accounting firms in Korea. I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depicts the relationships job related outcome(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two forms of work-family conflict(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conflict) and analyzed data by SMART PLS(Partial Least Squares). Results showed that work-to-family confli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However family-to-work conflict was not related to either job satisfaction or turnover intention. Also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accounting firms could be increase its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via intensive management of work-family conflict. A number of work-family literatures based on the subject of study have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a broad set of job-related consequences. Our study conducted on Korean tax professionals in big accounting firms can contribute to the generalization of other work-family literatur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use as the basis for the study of professional groups’ various conflict and to perform a lot of further study on human conflict more activel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