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파악하여, 양국의 유아문학교육 발전을 위한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여 바람직한 유아문학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과 중국 교사 385명이었으며, 질문지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중국의 모든 교사는 유아문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이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때문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두 나라 모두 유아들이 흥미 있어 하는 내용으로 작품을 선정하였으며, 교사가 선호하는 장르는 동화(산문), 유아가 선호하는 장르는 한국은 동극, 중국은 동화(산문)로 나타났다. 또한 문학작품 선정 시 두 나라 모두 발달 수준을 가장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문학교육은 한국이 중국보다 유아문학교육을 많이 실시하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동화 활동은 한국이, 동극은 중국이 많이 실시하였으며, 동시 활동은 비슷하였다. 또한 두 나라 모두 그림과 함께 소리(육성)로 전달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사전 준비로 한국은 정보수집을, 중국은 연수 참여를 많이 하였다. 연계활동으로 한국은 많은 교사들이 언어활동을 주로 실시하였으나, 반면, 중국은 언어활동, 극놀이, 동작활동(신체)을 고르게 실시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평가는 한국과 중국 모두 활동관찰평가를, 교사평가는 발달수준 적합성에 많이 응답하였다. 다섯째, 한국 교사들은 유아문학교육과 관련된 교육이나 연수를 받은 적이 없다는 교사들이 많았으나, 중국은 받은 적이 있는 교사들이 많았다. 교육이나 연수내용으로 한국과 중국 교사 모두 연령, 발달수준에 적합한 활동 및 상호작용 방법을 원했으며, 전문지식이 부족해서 유아문학교육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중국의 유아문학교육에 관한 교육방법, 지원, 교사 교육 방안, 바람직한 유아교육의 방향성 등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the desirable direction for advancement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by understanding Korean and Chinese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about early childhood literature. The subjects were 385 Korean and Chinese teachers, and method was a questionnaire. The first, In terms of recognition, Both Two countries responded need a lot and Because it helps improve language skills as the reason. Second, When selecting the content of literature work, both Korea and China responded What early childhood are interested in and teachers favorite genre is Children`s story, child's favorite genre is Drama Activities in Korea, and Children`s story in China. Thir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onducted more than in china. Many fairy tales were performed by Korea and dramas by China. The poem activities were the same. As a way of telling the literature works, both countries utilized the most how to convey works with sound and picture. and they did a lot of information gathering for advance preparation. Fourth, children's evalu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Korea and China Activity observation evaluation and teacher's evaluation was Developmental suitability.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Fifth, in the support and problem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Korea more answered has never received education or training related to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whereas China more answered has received. Both Korea and China chose activities and interaction methods appropriate to age and development level as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 and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s difficulty of educat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researches that can help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support, teacher education plan, and desirabl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