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안용복은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확고한 영토의식이 있었다.. 그는 일본에 납치되었을 때와 소송을 위해 자발적으로 일본에 오키도에 갔을 때 일관되게 울릉도와 독도에 대해 영토주권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일본은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영토의식을 드러내지 않았다. 안용복의 납치와 도일은 ‘울릉도쟁계’라는 영토분쟁과 해결과정 그 자체였다. 조선과 일본사이의 외교는 종래의 문물의 교류와 교역 중심이 아니라 영토분쟁이 외교의 핵심의제로 변했다. 이 과정에서 영토의 중요성이 제기되었고, 조선정부 관료와 지식인을 중심으로 영토의식이 확산되었다. 그리고 대마도의 울릉도 침범사실과 함께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땅이라는 명백한 사실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안용복은 울릉도쟁계를 통해 해양과 국경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을 뿐만 아니라 강역의 범위를 확산시켰다. 울릉도쟁계는 동북지방은 물론 동남해 지방에 대한 관심을 크게 환기시켰고, 북방경계에만 관심을 가지던 당시의 사람들이 해양과 섬에 대해서도 영토인식을 갖게 해주는 기폭제 역할을 했다. 안용복의 행적이 주목되는 이유이다.


Anyongbok had territorial consciousness about Ulleungdo and Dokdo. When he was kidnapped in Japan and voluntarily went to Japan to Okido for a lawsuit, he consistently claimed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Ulleungdo and Dokdo. On the other hand, Japan did not reveal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of Ulleungdo and Dokdo. The kidnapping and the visit to Japan of Anyongbok were a territorial dispute and resolution process called 'Ulleungdo Jaenggye'. The diplomacy between Joseon and Japan was not the exchange of tradition and tradition. Now, the core agenda of diplomacy in both countries was territorial disputes.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the territory was raised, and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spread arou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And the fact that Ulleungdo and Dokdo were the land of Joseon along with the fact that Tsushima's invasion of Ulleungdo was spread nationwide. Anyongbok not only reminded the importance of the sea and the border through ‘Ulleungdo Jaenggye’, but also spread the range of the river. ‘Ulleungdo Jaenggye’ has raised a lot of interest in the northeast as well as the southeast coast. And it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people of the time who were interested only in the northern borders to gain territorial awareness of the oceans and islands. This is why Anyongbok's conduct is notewor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