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상상의 공동체’이자 ‘느낌의 공동체’를 함께 건설하려고 했던 ≪선봉≫의 작가들과 작품들을 보다 개괄적이고 구체적인 차원에서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선봉≫에 실린 문학 작품들을 중심으로 재소 한인들의 디아스포라적인 삶과 인식이 어떤 궤적을 그리고 있으며 어떻게 문학적 형상화를 이루고 있는지, 그것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갖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23년에 창간된 ≪선봉≫은 재소(在蘇) 한인들의 최초의 한글 신문으로, 문예페이지를 개설하면서 한글문학을 본격적으로 개척하고 일군 선구자 역할을 했다. ≪선봉≫은 연해주로 이주한 지식인과 작가들이 한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민족어인 한국어로 작품을 창작하고 발표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 끝에 만들어낸 매체였다. ≪선봉≫은 1937년에 폐간되어 ≪레닌기치≫로 재탄생되기까지 한글문학의 영역을 구소련까지 확대하고 발전시키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 형성의 단초를 제공하고, 이후 중앙아시아로 이주하게 된 한인 작가들의 문학적 맹아(萌芽)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해낸 선진적인 매체였다. 재소 한인 작가들은 전통의 단절과 새로운 이념의 개입의 영향을 받은 문학 작품을 알리기 위해 ‘신문’과 ‘문학’이라는 근대적인 매체를 통해 연해주 동포들의 인식을 바꿔놓으려 노력했다. 이는 ≪선봉≫의 작가들이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로 구성된 ‘상상의 공동체’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론으로 무장한 근대문학이라는 ‘느낌의 공동체’를 통해 그들만의 역사적 공동체를 실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20~ 30년대라는 특정한 시기와 10월 혁명이 구현된 소비에트라는 공간 속에서 조선의 망명자들이 그들만의 경험을 통해서 구성되고 의미를 부여한 역사적 공동체라는 특이점을 보이고 있다. ≪선봉≫매체의 주체들은 재소 한인들과 소통하기 위한 신문과 한글이라는 언문일치의 도구를 통해 공감된 세계와 상상적 세계를 재현하고자 했다. 물론 과도한 정치적 요구와 이념에 경도된 도구화된 문학으로 점철되어 있는 경향성을 띠고 있긴 하지만 시대정신을 강력하게 상기시키는 효과를 발휘했다. 무엇보다 그들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로 구성된 ‘상상의 공동체’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론으로 무장한 근대문학이라는 ‘느낌의 공동체’를 통해 그들만의 역사적 공동체를 실현하려고 했다는 점이 지금 현재 무력한 문학을 향해 혁명적 상상력이 왜 필요한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writers and works of ≪Seonbong≫, which was an attempt to construct ‘Imaginary Community’ and ‘Feeling Community’ in a more general and concrete dimension. In other words, it is aimed to reveal the trajectory of diaspora life and recognition of the Korean refugees centering on literary works in ≪Seonbong≫, and how they are shaped literary and what meaning and value it has. ≪Seonbong≫, which was created in 1923, was the first Korean-language newspaper of the residents of Soviet., and opened up literary pages to pioneer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acted as a pioneer in the field. ≪Seonbong≫was expanded in 1937 and expanded to the Soviet Union until the rebirth of ≪Lenin Gichi≫ to the Soviet Union, providing the basis of socialist realism, and then the literary bud of Korean writers who moved to Central Asia was an advanced medium that faithfully fulfilled its role. Korean writers who tried to change the perception by means of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 and ‘Literature’ in order to inform the literary works influenced by the interruption of tradition and the intervention of new ideologies. It can be seen that the writers of ≪Seonbong≫ sought to realize their own historical community through the “imaginary community” composed of communist ideology and the “feeling community” of modern literature armed with socialist realism theory. Also, in the specific period of the 1920s and 1930s and the Soviet space in which the October Revolution was realized, the exiles of Chosun show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historical community that is constituted and meaningful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Seonbong≫ tried to reproduce the world and the imaginary world that were sympathized through newspapers and Hangul, a tool for communicating with Korean residents. Of course, it has a tendency to be dotted with instrumentalized literature that is devoted to excessive political demands and ideologies, but has shown a powerful reminder of the spirit of the times. Above all, they tried to realize their own historical community through the “imaginary community” composed of communist ideology and the “feelings community” of modern literature armed with socialist realism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