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어 구어․문어 상호능력의 신장을 위해 대표적 문어체 종결어미인 ‘-다’, ‘-ㄴ다/는다’의 교육 단계 설정과 교육 내용의 범주 설정 및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다’, ‘-ㄴ다/는다’의 구어적, 문어적 의미 기능과 용법에 대해 살펴보고 「표준모형」의 관련 내용과 현행 한국어 교재 5종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 ‘-ㄴ다/는다’의 구어적, 문어적 기능과 용법에 관한 적절한 교육 단계와 교육 내용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더불어, ‘-다’, ‘-ㄴ다/는다’의 구어적 기능에 관해서는 현재와 같이 ‘반말’의 범주가 아니라 각각의 의미 특성에 따라 주제 또는 기능과 연계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밝히고 과제 구성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wofold. The first purpose is to present how to set up the stages of education and determine the educational contents categories of ‘-다’, ‘-ㄴ다/는다’, The second purpose is to improve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of learners of Korean l. ‘-다’, ‘-ㄴ다/는다’ is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sentence final ending of literary style. To do this,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literary closing function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colloquial functions of ‘-다’, ‘-ㄴ다/는다’. After that, the relevant contents of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Standard Korean Language Education Model’ were reviewed and fiv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