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거주지 분리와 그와 관련된 사회·지역 격차와 갈등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연구는 행정동 단위 인구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2000∼2010년 광주광역시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 변화를 상이지수, 입지계수, 국지적 모란지수 등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상이지수를 통한 분석 결과, 분석대상 기간 동안 일관적으로 고학력층의 타 계층과의 거주지 분리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지계수를 통해 교육수준별 거주지 집중 지역을 분석한 결과, 저학력층과 고학력층의 경우 거주지 집중지역에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중학력층의 경우 해당 기간 이루어진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에 의해 입지계수가 급변하는 지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국지적 모란지수를 교육수준별 거주지 집중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학력층에서 거주지 집중 양상이 강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거주지분리의 양상을 종합하면 연구 기간 내 거주지 분리가 강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광주광역시 거주지 분리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거주지 분리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분석과 대응책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by education level in 2000- 20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dissimilarity indices show that high education level group was relatively more segregated from other education levels consistently. Second, the location quotients show that the low and high education level group’s residential distribution remains stable whereas the middle education level group’s residential distribution changed over time mainly because of the large scale residential district developments during the period. Third, through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using Local Moran ‘s I index, we could identify that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all education level groups have been intensified and the number and size of the segregated residential communites are getting bigger. If this trend continues, the residential segregation in Gwangju will be deepe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residential segregation considering more various factors and to find countermeasures related there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