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도가철학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여말선초의 삼봉 정도전(1342-1398)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조선건국의 철학적 이념을 유가적 세계관을 통해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그 이념의 수호를 위하여 불교와 도가를 배척하는 데 앞장선 인물이다. 그동안 정도전의 불교비판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음에도, 도가비판의 한계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된 적이 없다. 이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고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에 대한 기본 입장과 그 한계를 검토하고자 한 연구의 목표와 필요성에 의해 기획되었다. 이글은 먼저 정도전의 학문적 기본 입장에 대해 주목한다. 정도전은 도가철학을 이단의 성격을 갖는 기학(氣學)으로 규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학의 한계는 그가 제안하는 또 다른 이단학문인 불교의 심학(心學)에 의하여 공격된다. 뿐만 아니라 기학과 심학은 정도전 스스로 리학(理學)이라고 규정한 유학의 최종 범주 틀로부터 타자의 학문으로 배척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도전의 도가비판은 그의 불교비판과 마찬가지로 유가를 수호하기 위한 호교론의 방편으로 제안된 것임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이 글은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의 입장과 그 한계에 대해 주목한다. 이 글은 정도전이 본 도가철학 해석에 관한 기본 입장을 네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즉 도가철학은 (1) 불연속적 세계관의 특징, (2) 반윤리적 특징, (3) 현실 부정적 도피주의의 특징 (4) 불로장생 추구의 특징 등을 갖는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글은 이와 같은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의 관점이 결코 객관적이거나 공정한 평가일 수 없다는 점을 문제 삼는다. 이에 이 글은 최종적으로 정도전의 도가철학에 대한 부정적 해석의 관점에 대하여 주목하고, 그 한계 비판을 각각 네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요컨대 도가철학은 정도전이 본 것과는 다르게 (1) 존재와 생명의 영속성, (2) 세속윤리 부정의 도덕론, (3) 현실 비판적 현실주의, (4) 생사초월의 생사관 등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 정도전의 도가철학에 대한 해석의 관점이 특정한 목적의식에서 제시된 것임을 분명히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연장선상에서 정도전에 의해 왜곡되었던 도가철학의 의의를 새롭게 복권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본다.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taoist philosophy, Sambong Jeong Do-jeon (1342-1398), at the end of Koryo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is a person who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He not only presented the philosophical ideology of the foundation of Joseon through the Confucian viewpoint of the world, but also took the initiative in rejecting Buddhism and Taoism. Whil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 results of Jeong 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there have not been individual researches on the limits of Jeong Do-jeon's criticism of Taoism. Therefore, this study is planed by the objective and necessity to examine Jeong Do-jeon's basic posi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aoist philosophy and the limits. In the first place, this writing pays attention to Jeong Do-jeon's basic position of studies. Jeong Do-jeon defines taoist philosophy as Qi studies with the nature of a cult. Yet this limit of Qi studies is attacked by the mind studies of Buddhism he regards as another cult. Furthermore, the Qi studies and mind studies are attacked as the other studies from the final frame of category he himself defines Li studies as. As a result, Jeong Do-jeon's criticism of Taoism, like his criticism of Buddhism, is certain to be presented as the way to protect his religion. Then, this writing pays attention to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and the limits. This writing examines the basic position of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in four aspects. They are (1) the characteristic of a discontinuous viewpoint of the world, (2) that of immorality, (3) that of escapism to deny reality, and (4) that of the quest to live ever-young. This writing, however,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is never a fair valuation. Thus, this writing finally pays attention to Jeong Do-jeon's negative interpretation of taoist philosophy and gives the criticism of the limits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In short, the meaning of taoist philosophy, unlike Jeong Do-jeon's perspective, has (1) the permanence of beings and lives, (2) the morality to criticise morality, (3) the realism to criticise reality, (4) the view of life and death to transcend life and death. Through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is certain to be presented with a certain objective. Furthermore, the meaning of taoist philosophy which has been distorted by Jeong Do-jeon is seen to have a chance to be rene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