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심훈의 중국에서의 행적, 특히 항주에서의 활동을 정리하고, 이러한 중국에서의 경험이 그의 창작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논의한 것이다. 심훈의 중국행이 지닌 정치적 의도와 항주의 지강대학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에서 발표한 주요 작품들을 분석하여 심훈이 당시 중국을 역사적 혹은 문학적으로 의미화 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우선, 심훈에게 중국 체험은 자신의 사상적 거점과 독립운동의 방향을 찾아내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음을 논의하였다. 북경에서 상해, 남경을 거쳐 항주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그의 사상적 변화와 문학적 방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근대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내부의 모순이 공존하는 상해의 이중성에 대한 절망과 노선 갈등을 주목하여, 이러한 정치적 분파 투쟁이 항주에서의 생활로 어떻게 이어져문학적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귀국 이후 이러한 정치적 좌절과 회의를 극복하는 새로운 문학의 방향성을 찾고자 한 결과, 「그날이 오면」과 소설 「동방의 애인」을 남겼다는 점을 전기적으로 해명하였다. 다만 이 두 작품은 일제의 검열로 인해 중단되고 말았다는 점에서, 이후 그가 이러한 검열을 우회하는 서사 전략으로 ‘국가’를 ‘고향’으로 변형시키는 양상을 드러냈음을 주목하여, 심훈의 후기 작품을 농촌 계몽으로만 바라보지 말고 식민지 검열을 넘어서는 전략적 방향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논증하였다. 다음으로, 이상의 맥락에서 <항주유기>를 비롯한 시조 작품들을 중심으로 심훈의 시조 창작이 지닌 정치적 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의 시조 창작은 1930년대 이후에 집중되었는데, 일제의 검열을 피하는 방식으로 식민지 모순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시조 장르를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즉 그의 시조 창작은 식민지 모순을 근원적으로 넘어서려는 저항정신이 내재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그의 시조 창작 전략은 정치성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식민지 모순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정치적 역설의 양식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이 심훈의 문학에서 ‘항주’가 지닌 정치적 의미를 중요하게 바라보는 이유가 된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심훈의 사상과 문학의 형성 과정을 중국 체험, 특히 항주 시절과의 연관성 속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그의 문학 작품에 구체화된 중국의 사회역사적 의미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Sim Hun’s whereabouts in China, especially his activities in Hangzhou, and discuss how his experience in China influenced his creative activities. Analyzing the political intention of Sim Hun’s heading for China and major works he released in the process of his settlement in Hangzhou Christian College, this author intensively discusses how Sim Hun sought historical or literary meanings about China then.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discusses that to Sim Hun, experience in China was mainly to find his own ideological foothold and direction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Particularly, focusing on despair about the double-sidedness of Shanghai where the contradictories of modern capitalism and imperialism coexist as well as conflict about the path, this author discusses how such political factions’ struggles led to his life in Hangzhou and his literary alterations after all. Also, from the point that 「When the Day Comes」 and a novel, 「Lover of the East」, released after his return to Korea were ceased to be published due to the censorship of the Japanese Empire, this researcher recognizes the fact that as a narrative strategy to escape from the censorship, he substituted ‘the nation’ with ‘the hometown’.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t is needed to understand Sim Hun’s later works not just for the enlightenment of farm villages but as strategies to escape from the colonial censorship. Next, in the context above, this author has examined sijo works including <Hangzhouyugi> centering around the political intention of Sim Hun’s creation of sijo. Most of his sijo works were created focusedly after the 1930’s. To criticize colonial irony as a way to avoid the censorship of the Japanese Empire, he thought it would be needed to adopt strategies to choose the sijo genre actively. Therefore, his strategies to create sijo are equipped with special meaning in that colonial irony was introspected critically while political aspects were not revealed directly. His kind of consciousness of problems is the reason why the political meaning of ‘Hangzhou’ was viewed critically in Sim Hun’s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