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대학 입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확대되는 현상에 이의를 제기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가장 공정하기 때문에수능 중심 정시 전형으로 학생들을 선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즉, 수능은 간단하고 학생부종합전형은복잡하기 때문에 단순한 것이 더 공정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능력을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지못한다는 점에서 수능 시험 역시 공정하지 못하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이처럼 서로 다른 주장을 하는 양측 모두가공정함을 근거로 들고 있기 때문에, 결국 양측의 대립은 공정함을 보는 시각의 차이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이 연구는공정성에 관한 교사의 시각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 신뢰도를 중시하는 측과 타당도를 중시하는 측의 이견이좁혀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타당도가 높은 학생부종합전형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이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학생의 역량이 성장하는 과정이 학교생활기록부에 제대로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대학역시 학생 평가는 물론 교사의 학생 평가에 대한 평가(메타 평가)를 합리적으로 절충하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이는 학생의 실제 역량에 비해 과장된 학교생활기록부를 찾아 감점하는 방식이 아니라, 과장된 내용은 적절하게줄여서 보정하고, 과소평가된 내용은 적절하게 확장시켜 보정할 수 있는 체계가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inions of field teachers about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Test (CSRT) and the Entrance Examination Conducted by University. This paper is a policy study to design a fair university admission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have confirmed that our society can not narrow the gap between those who place emphasis on reliability and those who place importance on validity while we do not have clear consensus on what is more fair. The teacher must observe and analyze the student's growth process so that the student can expand his or her potential, which he did not know for himself, to the realm of objective facts. The university must have a system that makes a reasonable compromise between student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teachers' evaluation(meta-evaluation). The university should build a system that does not deduct exaggerated results compared to the actual capacity of the student, but corrects it by shortening it appropriately and corrects the underestimated appropri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