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최초의 가야금악조인 하림조악조에 관해 고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삼국사기』에 전하는 하림조는 우륵과 이문이 신라 진흥왕앞에서 낭성의 하림궁에서 연주한 가야금악조로서 우리나라음악사에서 최초로 악조명을 사용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하림궁에서 연주한 하림조는 지금의 충북 청주시 낭성면지역의 음악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고 사료된다. 『세종실록』에는 『삼국사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가야금의 하림조와 눈죽조에 대한 보법과 탄법이 남아있다고 하였으나 구체적인 자료가 전해지지 않았다. 현금의 최자, 탁목, 우식, 다수희, 청평, 거사연은 속악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호사설』에 의하면 하림조와 눈죽조의 두 악조가 우리나라 악조의 시초라고 명시하고 있다. 청풍체와 탁목조 등도 하림조라고 하여 우륵이 남긴 풍류음악이라고 하였다. 『악학궤범』에 이르러 하림조는 가야금과 현금, 향비파 등 향악기의 청풍체, 최자조, 우식조라는 악조의 명칭으로 확대되어 악기의 산형에 줄이나 괘의 명칭, 율명과 상하지법, 치조의 치, 우, 궁, 상, 각과 우조의 우, 궁, 상, 각, 치 그리고 시용 궁, 상, 각, 치, 우 등의 5음음계, 그리고 기보법과 탄법을 포함한 조현법을 갖춘 다양한 악조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악학궤범』 가야금과 향비파, 현금의 하림조는 청풍체에 해당되고, 고선궁평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금의 하림조는 최자조나 우식조로 나타나는데 청태주계면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림조는 『삼국사기』, 『세종실록』, 『성호사설』에 의하면 우리나라 최초의 가야금악조명으로 한정되어 있었는데 『악학궤범』에 이르러 가야금뿐만 아니라 현금, 향비파 등의 악조에도 영향을 주어 청풍체, 최자조와 우식조 등의 다양한 악조로 확대발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하림조는 조현법에서 청풍체와 낙시조평조1지, 최자조와 우조계면조 막조를 비교하면 고음역이나 저음역을 추가하여 자유롭게 음역을 넘나들면서 변주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하림조는 가야금, 현금, 향비파의 조현법에서 향악의 평조와 계면조의 기본틀을 형성하였다.
According to 『Samguksagi』, Harimjo performed by Ureuk and Imun in front of Jinheung King of Shilla in Harim palace of Nangseung. Harimjo is the first Gayageum mode. Therefore Harimjo performed in Harim palace of Nangseung, which represented musical character of Nangseung region, that is now Cheongju city of Chungbuk. Harimjo of Gayageum, Hyeongeum and Hyangbipa in 『Akhak gwebeom』 composed by Goseongung Pyeongjo. And Harimjo of Hyeongeum apears also in Choijajo and Usikjo, that is consist of Taiju Gyeomyeonjo. So Harimjo absorbed to Cheongpungche by Goseongung Pyeongjo of Gayageum, Hyeongeum and Hyangbipa, also Choijajo, Usikjo by Taiju Gyeomyeonjo of Hyeongeum. Cheongpungche presents musical character in Cheongpungmyeon, Chungbuk. Harimjo is the first musical mode that performed by Ureuk in Harim palace. Here Cheongpungche of Gayageum, Hyeongeum, Hyangbipa and Choijajo, Usikjo in 『Akhakgwebeom』 consists of basic frame by Pyeongjo, Gyeomyeonjo of Hyangak.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Harimjo, Cheongpungche, Ushikjo, Choijajo, Ure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