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조선중기의 문인지식인 靜谷 曹信天의 家訓 『筆語』에 대한 연구이다. 『필어』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그 구성과 立訓의 동기, 『필어』에 보이는 日用과 獨得의 양상, 『필어』가 의도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내용 등을 시대적 배경과 家訓史의 흐름 속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필어』의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우선, 『필어』는 그 序跋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한 대로 ‘일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조신천이 ‘일용’에 집중한 결과, 일상의 실질적 지침으로 기능하는 가훈을 세웠는데, 그 지침 중에는 推己及人에 근거해서 共感을 권계하는 내용이 적지 않았다. 따라서 『필어』에서 보이는 ‘일용’의 가치는 구체적인 삶 속 실질적인 警戒로서의 기능과 함께, 共存의 추구에서도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필어』는 자신만의 고유한 경험과 시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신천은 체험에서 우러난 권계를 후손의 상황에 맞춰 건네는 과정에서 遊山과 女色의 문제를 거론했고, 동시대의 인물과 사건 속에서 모범과 反面敎師의 예를 찾았다. 그 결과 강한 호소력은 물론, 齊家·修身·處世의 보편과 구체적 체험이라는 특수가 어우러진 가훈을 전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필어』에는 天道와 聖學, 富貴와 利祿, 規範과 儀式 등에 관한 논의가 보이지 않는다. 전근대 가훈의 주요 흐름이 ‘일용’을 추구하는 데 있었다는 점, ‘부귀’와 ‘이록’을 外物로 평가하며 거리를 두려고 했던 사실 등이 처음 두 논의가 不在한 이유였다. 그리고 規範性 부재의 경우, 명령하기보다 간곡히 호소하려 했던 조신천 개인의 성향, 조선중기의 아버지들은, 조선후기와 비교했을 때, 同族을 통제하는 힘이나 법으로서의 지배력이 아직 절대적이지는 않았다는 사회적 배경 등을 그 원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조신천은 이처럼 자신의 경험 위에서 후손의 상황을 고려하며 일상의 실천적 지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 했다. 이러한 시도가 인정을 받아서 한 세기 이후에도 『필어』는 어떤 아버지가 만든 가훈의 모범이 되기도 했고, 『小學』에 비견되기도 했던 것이다. 이것이 본고가 밝힌 『필어』의 가치이자 전근대 가훈사 속에 자리 잡은 그 위치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Joeonggok(靜谷) Jo, Shin-cheon( 曹信天)’s A Home discipline written(筆語).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A Home discipline written, the composition and motivation of the stipulation, the aspects of daily use(日用) and uniqueness, and What he did not intentionally describe shown in A Home discipline written. As a result, we could find the value of A Home discipline written. First of all, A Home discipline written focused on daily use as commonly pointed out in the introduction. As a result of concentrating on daily use by Jo, Shin-cheon, he set up a home discipline that functions as a practical guideline of everyday life. Therefore, the value of daily use seen in A Home discipline written can be found in the pursuit of coexistence as well as functioning as a practical vigilance in concrete life. Next, A Home discipline written is composed of his own uniqu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Jo, Shin-cheon mentioned the agenda of the travel and the woman in the process of handing down the souls of the experience to the situation of the descendants, and found examples of the role models in the contemporary figures and events. As a result, it was able to convey not only the strong appeal but also the special virtue of the universal experience and the concrete experience. Finally, there are no discussions on the way of Providence and the Holy study, wealth and benefits, norms and rituals. The reason why the first two discussions were absent was the fact that the main flow of the premodern home discipline was to pursue daily use, and the fact that he tried to distance himself by evaluating the wealth and benefits as outside things. In the case of the absence of normality, the tendency of Jo, Shin-cheon individual who sought to appeal more than the order had a social background that the power to control the family and the dominance as a law were not absolute. Jo, Shin-cheon tried to explain the practical guidelines of daily life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his descendants on his own experience. These attempts have been recognized, and even after a century, A Home discipline written became an example of a father-made home discipline, comparable to xiaoxue(小學). This is the value of A Home discipline written that I have described in this paper, and it is the place that is set in the history of the home discipline in the pre-moder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