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특허권 침해를 불법행위로 해석하여 민법 제766조를 적용한다. 즉 특허권 침해소송 제기의 소멸시효기간과 관련하여 민법 제766조를 적용하여 단기 3년 및 장기 10년의 시효기간을 책정하며, 동조 제1항은 단기3년의 기산점을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 규정하고있다. 이 글은 특허법의 현행 소멸시효기간 법리가 다음의 두 가지 문제점을 가진다고 지적한다: 첫째, 장기 10년은 특허권 침해사건과 어울리지 않는다; 둘째, 손해 및 가해자를 알았던 때를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알았던 때로 보는 대법원캐논 대 백산오피씨 판결은 무체물을 다루는 특허사건에는 타당하지 않다. 현행법리의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하여 이 글은 주요국의 법리를 분석한 후 다음의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단기 3년, 장기 10년의 시효기간을 두고 단기 3 년에 대한 인지(knowledge) 요건을 그대로 두면서도, 그 요건을 완화하는 유형(독일 민법, 특허법); 둘째, 시효기간을 획일적으로 5년으로 책정하고 인지 요건을두지 않는 유형(프랑스 지식재산권법); 셋째, 시효기간을 획일적으로 5년으로 책정하고 인지 요건을 완화하는 유형(유럽통합특허법원); 넷째, 시효기간을 획일적으로 6년으로 책정하고 인지 요건을 두지 않는 유형(미국 ․ 영국 특허법). 이 글은 현행 특허법의 시효제도를 개선함에 있어서의 전제조건으로 인지 요건의 완화또는 삭제가 필요하다는 점 및 완화 또는 삭제는 시효기간의 장기화를 요구한다는 점에 두었다. 그런데 인지 요건을 완화하는 정도로는 특허분야에서 관련 인지에 대한 다툼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인지 요건의 완화가 부족하다면 차라리 적극적으로 인지 요건을 삭제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만약인지 요건을 완화하는 선에 그치지 않고 이를 삭제하는 선까지 나아간다면, 시효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늘리는 선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6년으로 늘리는 선까지 나아갈 필요가 있겠다. 그렇다면 결론적으로 미국 특허법의 시효제도가 우리특허법이 취할 가장 합리적인 개선방안이 된다. 이에 따라 이 글은 그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침해소송의 소장 또는 반소의 접수 전 6년 전에이루어진 침해에 대하여는 손해배상청구가 인정되지 아니한다”는 규정을 특허법, 실용신안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등에 신설할 것을 제안한다.


The Korea Patent Act, mutatis mutandis applying section 766 of the Civil Act with regard to statute of limitation (SoL) period in a patent infringement suit, sets short-term three years and long-term ten years and further sets the starting point of the short-term three years as when the sufferer or his legal representative knew relevant loss and the infringer. This paper criticizes that current SoL period jurisprudence has the following two weak points: firstly, long-term ten years does not comport with a patent infringement case; secondly, the Supreme Court decision on the Cannon v. Baiksan OPC case, which sets the time of knowing loss and the infringer as the time of “realistically and specifically” knowing them, does not comport with a patent infringement case which handles intangible properties. To overcome problems of current jurisprudence, this paper studied systems of major countries and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the first type which sets short-term three years and long-term ten years, allows knowledge requirement but eases the requirement (German Civil Act and Patent Act); the second type which sets a single five year SoL period without knowledge requirement (French IP Code); the third type which sets a single five year SoL period with flexible (eased) knowledge requirement (EU Unified Patent Court Agreement); the fourth type which sets a single six year SoL period without knowledge requirement (U.S. & U.K. Patent Acts). In improving current SoL period jurisprudence, this paper admits two preconditions: knowledge requirement should be eased or erased and such easement or erasement demands prolonged SoL period. We authors think that mere easement of knowledge requirement may not much diminish relevant disputes in patent field. If mere easement is not enough, further erasement would be a better solution. If knowledge requirement is not merely eased but further erased, the SoL period need to be prolonged not merely to five years but further to six years. Then, as a conclusion, the U.S. SoL period system would be the best solution for the Korea Patent Act. This paper suggests to insert a new provision into the Patent Act, the Utility Model Act, the Trademark Act, the Design Protection Act, etc., which (notwithstanding section 128) admits no recovery for any infringement committed more than six years prior to the filing of the complaint or counterclaim for infringement in the 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