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에게 있어서 중요한 삶의 조건은 ‘좋은 삶’ 혹은 ‘행복’이다. 본 논문은 그간 도덕교육학에서 논의해 온 ‘도덕적 리더십’ 연구를 재고하는데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에는 기본적으로 도덕적 리더십에 대한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개념인 공자의 인과 예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과 덕의 개념이 도덕적 리더십과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아울러 이들 사상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규명한다.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차이의 인정과 갈등의 문제들은 사적 영역은 물론 공적 영역에서 충돌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의 현실에서 비롯되는 제반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해소하고 치료할 수 있는 이론의 구축과 방법론의 문제에 직면해서는 도덕적 리더십의 연구가 추상적 담론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좋은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개인과 공동체의 상호 변증법적 조건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독일의 프랑크푸르트학파 제3세대 사회철학자로 평가받는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에 기반을 둔 ‘인륜성’ 개념과 관련해 도덕교육에 있어서 ‘인륜적 리더십’의 정초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의미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For human, the important condition of life is ‘good life’ or ‘happin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consider the study ‘moral leadership’ that has been discussed at moral education. Basically, in this sense of discussion,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about moral leadership should be preceded. Therefore, at this paper, any correlation between Confucius's benevolence(仁), the proprieties(禮), Aristotle's happiness, virtue and moral leadership will be investigated about what they are. The problems of difference recognition and conflict arise in modern society are in conflict in the public domain as well as the private domain. In the meantime, in the face of the problem of the build and methodology of the theory that can solve and cure all the problems of all sorts caused by our reality, the study of moral leadership stayed at the level of abstract discourse. Because of, it is necessary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realize the mutual dialectical condition of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to pursue ‘good life’.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want to argue the discussion on the foundation possibility of ‘Humanistic Leadership’ in moral education is meaningful in the relation to the concept of ‘ethical life(Sittlichkeit)’ based on Axel Honneth's ‘recognition theory’ which is evaluated as a third-generation social philosopher of Frankfurt School in Germ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