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여성 영역의 한계, 신여성의 기표인 의상의 변화, 인도의 여성상 등을 중심으로 간디가 인도 신여성들의 근대적 정체성에 미친 영향을 검토했다. 간디는 여성을 민족주의 운동에 동참시켜 여성 영역의 벽을 무너뜨렸지만 이것이 여성들의 자아실현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그러한 과정에서 여성 대중들을 각성시켰다는 점에서는 신여성 현상의 확산과 여성의 근대적 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간디는 여성들에게 흰색의 캇다르 사리를 입게 함으로써 여성들의 의복을 변화시켰다. 그러나 이것 역시 여성의 개성이나 활동성을 위한 것이 아니었으며, 개인보다는 민족 문제를 앞세운 것이기 때문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여성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민족을 위한 일을 한다는 통일성과 자긍심을 갖게 해주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디의 물레 운동과 흰색의 캇다르 사리는 신여성의 근대적 정체성에 미친 부정과 긍정의 양면성을 갖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간디는 인도 여성이 롤 모델로 삼아야 할 여성상으로 시따를 제시했다. 간디가 의도한 바는 아니라 하더라도 시따의 이미지는 헌신과 복종의 이미지로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전통적인 여성상을 재생산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뿐만 아니라 여성의 사회활동을 강조하면서도 전통적 관념의 여성의 다르마를 강조했기 때문에 신여성의 근대적 정체성 확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여성의 영역 붕괴, 의복의 변화 추구라는 측면에서는, 간디가 여성의 근대적 정체성에 미친 긍정적 영향을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지만, 사리와 시따 이미지를 통해 전통적 여성상을 재생산함으로써 인도 신여성의 근대적 정체성에 미친 간디의 영향은 부정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리의 확산과 더불어 간디가 등장한 1920년대 이후 ‘신여성 현상’이 줄어든 것처럼 보이는 측면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1920년대에 ‘간디의 등장 그리고 사리의 확산’으로 ‘신여성 현상과 여성담론’이 약화된 것처럼 보이는 측면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Gandhi's Impact on the modern identity of New Women in India focusing on the limit for the area of women, the change of clothes as a signifier of New Women, and the images of Indian women, etc. Gandhi destroyed the boundaries of the area of Indian women by involving them in nationalist activities; though it was not aimed at the self-actualization of women. In this process, however, the female public has been awakened; and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considered that Gandhi brought positive effects to the spread of the New Women phenomenon and modern identity of women in India. Gandhi changed Indian women's clothes by encouraging them to wear a homespun white khaddar sari. That was neither for women’s personalities nor their activities, but for national issues over individual agendas, thus it cannot be said to have positive impacts. Yet, in a certain sense, it can receive positive reviews for inspiring a strong feeling of unity and self-esteem in India women that they work for the nation. Thus, Gandhi’s spinning wheel movement and white khaddar sari have bot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in respect of the modern identity of New Women. Gandhi proposed Sita as an ideal Indian woman. Since Sita had been regarded as the embodiment of devotion and obedience in India for a long time, it brought about the reproduction of traditional image of ideal women regardless of his intention. Furthermore, because he emphasiz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dharma for women as well as their social activities, it cannot be said that this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identity of New Women in a positive way. Therefore, on the aspect of the collapse of the area of women and the pursuit of changing women’s clothes, Gandhi’s positive effect on the modern identity of women can be acknowledged up to a certain point; whereas he has a negative effect on it as well by reproducing the traditional image of women through the image of Sita. Also,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New Women phenomenon and women’s discourse seemed weakened in 1920s by the emerge of Gandhi and the spread of S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