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푸코의 고고학적 방법이 보여주는 역사 분석 방식과 유의미를 지식의 고고학 4장에 해당하는 ‘고고학적 기술(la description archéologique)’을 상세하게 논하면서 살피려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고고학적분석이 고안된 배경을 검토해야 한다. 당대의 역사가들에게 역사란 무엇이며, 이러한 밑그림 속에서 푸코가 말하는 기존의 역사 분석으로서 ‘사상사’의 방식무엇인지 다루어야 한다. 다음으로 고고학적 분석은 어떤 구성을 갖고 있는지를 사상사와의 대비 내에서 구체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담론이 서로 관계 맺는방식은 무엇이며, 그 관계에서 고고학은 무엇을 주목하는지에 대해 개괄하는것은 푸코의 역사 분석의 골격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고고학적 기획이 비판하고자 하는 바가 당대의 역사 분석만이 아니라 목적론적 역사를 수립하고자 하는 모든 이론적 의도에 대한 거부임을 볼 수 있을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고고학적 기획에 대한 주요한 반박을 간략히 살펴보고, 그러한 반박이 고고학적 분석의 불가능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장하려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analysis method and significance of Foucault's archaeological methods by discussing the details of the ‘la description archéologique’ corresponding to Chapter 4 of L'archéologie du savoir. To do this, we first need to examine the background in which archaeological analysis was devised. What is history for the historians of the day, and in this sketch, we must deal with what Foucault calls the “l’histoire des idées” as an existing historical analysis. Next, we will discuss in detail the composition of archaeological analysis in comparison with the history of thought. What is the way discourses relate to one another, and to give an overview of what archaeologists pay attention to in that context reveals the framework of Foucault's historical analysis.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can see that what archaeological planning is trying to criticize is not only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time but also a rejection of all theoretical intentions to establish a teleological history. Finally, we briefly review the major refutation of these archaeological projects, and point out that such refutation does not imply the impossibility of archaeological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