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예술 창작의 근원을 (인간 안팎의) 동물성이라는 코드로해명하는 데 있다. 동서고금 경탄의 대상이었던 작품 창작의 근원은 전통 철학자들에게도 큰 관심사였다. 주지하다시피, 플라톤은 ‘신적 광기’로,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메시스 혹은 멜랑콜리’로, 칸트는 ‘천재’로, 니체는 ‘디오니소스적 도취’라는 열쇠말로 이 비밀을 풀고자 했다. 우리의 연구는 현대 동물연구(Animal Studies)의 성과를 반영하여 동물시학(zoopoetics)이라는 새로운 틀속에서 이전 해법들을 변형, 수정, 재해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요컨대 예술에관한 가장 급진적인 현대 철학적 반성의 결과가 바로 동물시학이며, 본 연구의목표는 그 동물시학의 철학적 기초를 확보하는 데 있다. 이 글은 하이데거를비롯한 현대 철학자들의 동물철학을 바탕으로 동물시학의 철학적 토대를 마련할 예정이다. 여기에서 동물시학이란 단지 동물이 등장하는 텍스트에 한정되지않는다. 또한 동물이 한갓 비유적 대상, 의인화된 대상, 감정이입의 대상으로사용되는 작품에 한정된 시학이 아니다. 물론 허먼 멜빌의 모비딕처럼 인간의 폭력적인 시선을 거부하는 동물이 등장하는 작품을 동물시학은 주목한다. 하지만 동물시학의 범위는 이보다 훨씬 더 넓다. 차라리 그것은 예술가의 몸을빌려서 동물(생명, zoe) 스스로가 창작한(poiesis) 작품에 관한 시학이다. 그렇다면 작품 속에 인간 아닌 생명체가 등장하든 말든, 그것이 결정적인 문제는아니다. 더구나 시학이라 명명하고 있지만, 언어예술 내지 시(詩)에만 한정된영역을 지칭하지도 않는다. 작품이 생명을 가지는 과정을 동물과 연관지어 사유할 수 있는 장, 원시적인 생명을 감지할 수 있는 작품 전체가 동물시학의 범위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심미적 감성’ 속에서 동물성과 인간성이조우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그 속에서만 새로운 의미를 얻을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전 철학자들(플라톤, 칸트)이 두 세계를 전제한 다음 추후에양자를 연결시키려는 시도로서 심미적 감성을 언급했다면, 우리는 ‘사이’의 심미적 감성으로부터 비로소 두 세계가 결정된다고 본다. 심미적 감성이 매번 동물과 인간 그리고 둘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지식을 무효화하고 모든 것을 새롭게 건립한다. 심미적 감성 속에서 동물과 인간은 만날 수 있으며, 동물은 비로소 동물이 되고 인간은 비로소 인간다워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origin of artistic creation with the code of animality(it exists inside and outside of the human being). The origin of the creation of works, which have been the object of wonderment, was also a great concern to the traditional philosophers. As you know, Plato was trying to solve this mystery by interpreting it as ‘divine madness’, Aristotle as ‘mimesis or melancholy’, Kant as ‘genius’, and Nietzsche as ‘Dionysus’. Our study is an attempt to transform, revise, and reinterpret old solutions in a new framework of ‘zoopoetics’, reflecting a few achievements of modern Animal Studies. In short, the result of the most radical philosophical reflection on art is zoopoetics, and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ecur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he zoopoetics. Based on the Animal-philosophy and Art-philosophy of modern philosophers including Heidegger, Agamben, and Derrida, our study will lay the groundwork for authentic zoopoetics. In our discourse zoopoetics is not limited to the texts, in which animals appear. Also, it is not limited to the poetries, in which animals are used as a kind of figurative, personalized, or empathized object. The zoopoetics, of course, draws attention to the works including animals that revolt against human violence, such as “Moby Dick” by Herman Melville. But the scope of zoopoetics is much wider. Rather, it is the poetics about works created(poiesis) by the animal(anima/life) borrowing the artist’s body. Whether or not a non-human creature emerges in the work, it is not a crucial issue. Moreover, although it is named as poetics, it does not refer to areas limited to language arts or poetries. Finally, this paper shows that animal and human can be encountered in ‘the aesthetic’ and new meanings of them can be obtained within the aesthetic relation between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