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후 우리나라의 국악교육의 변화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그 동안 사용된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악교육의 비중과 각 영역간의 변화, 그리고 국악의 학습내용과 활동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중 교육과정별로 무작위로 선택된 2종, 총 45권의 음악 교과서이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 음악 교과서에서 국악의 비중은 제 2차 교육과정에서 7.0%이던 것이 꾸준히 늘어 2009 교육과정에서 46.6%로 가장 많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40.1%로 줄었다. 둘째, 우리나라 음악교과서의 국악부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영역은 가창이었으나 최근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영역이 고루 다루어져 균형을 이루는 추세이다. 셋째, 우리나라 교과서는 시간이 갈수록 모든 영역에서 다양성이 증가되고 있었다. 가창곡의 종류, 감상곡의 종류, 다루는 악기 수, 창작활동의 종류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의 학습활동도 다양화되고 있었다. 넷째,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보면 가창 및 연주, 감상이 중심이 되는 음악실기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조사하기’ ‘발표하기’ ‘토론하기’ ‘만들기’ ‘평가하기’ 등 음악실기 외의 다른 능력들을 키울 수 있는 학습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weights of its sub-fields,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has been changed in the junior high school music textbooks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We chose randomly 45 textbooks from two publishers from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to the present curriculum of year 2015.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eigh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7.0% in the second curriculum, but increased continuously to 46.6% in the curriculum of year 2009. It decreased to 40.1% in the 2015 curriculum. Second, singing was the most important sub-field among the various sub-fiel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the variety increased in the kinds of songs, the kinds of appreciation music, the kinds of instruments, music creation activities, and other learning activities. Fourth, in the old days music practices such a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appreciation were emphasized. But recently other abilities such investigation, presentation, discussion, making, and evaluation are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