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5년 7월부터 시행된 자본시장법 상 시장질서교란행위에 대한 규제가 애널리스트의정보생성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설된 시장질서교란행위는 기존의 내부자 거래금지조항에 비해 내부자의 범위 및 정보의 성격과 범위가 획기적으로 확장되었다. 애널리스트는 자본시장에서 정보생성에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주체로서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제에 가장 민감한시장참여자일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제 시행 이후 애널리스트의 기업에 대한EPS(earnings per share) 예측오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애널리스트의수, 주가 변동성, 거래량 등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소규모 및 중규모의기업들과 제도시행 전 예측정확도가 높았던 기업들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2016년 후반한미약품 미공개 정보이용 사건에 대해 신설된 규제로 대대적 법 집행을 한 이후 애널리스트의 예측오차가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도변화가 자본시장의 정보생성활동에 중요한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regulation on market abuse on analysts’ information generation activities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of July 2015. The new market abuse act has drastically expanded the extent and scope of insider information and the scope of insider trading prohibition provisions. In addition, analysts may be the most sensitive market participants in the regulation of market abuse as the most dominant actor in information generation in capital market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we find that EPS (earnings per share) forecast errors increase significantly after the regulation. These changes are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the number of analysts, stock price volatility, and trading volume. This phenomenon is mainly found in firms with small and medium size and companies with high prediction accuracy before implementation. We also find that analysts’ forecast errors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the law enforcement on Hanmi’s case in late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stitutional chan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ormation production activities of capital mar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