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엘리자베스 쉬슬러 피오렌자의 대표적인 교회 개념인 여성의 에클레시아를 후기토대주의적 관점으로 재해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쉬슬러 피오렌자의 여성의 에클레시아 개념은 모든 사람의 행복과 웰빙이라는 이상을 추구함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스트 이데올로기 비판적 방법론을 모든 해석의 토대로 상정함으로써, 다양성을 오직 주중심제에 대한 비판적인 담론의 다양성만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자기모순에 빠져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여성의 에클레시아가 가지고 있는 비판 중심적인틀을 후기토대주의적 관점으로 재조정하기를 시도한다. 후기토대주의는사회 역사적인 전통이나 맥락과는 무관한 채, 자기 안에서 보편적인 토대(진리)를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토대주의와, 진리는 항상 상대적이고 맥락적으로 조건지어진다고 주장하는 비토대주의의 극단적인 양극성을 긍정적으로 중재하려는 입장이다. 후기토대주의는 모든 해석을 사회 정치적 비판의 관점으로만 허용하여 마침내 메타담론의 자리를 차지해 버린 페미니스트 비판적 패러다임의 독단과, 페미니스트 비판과는 다른 여성담론들을 연구하는 다양한 여성주의 연구들을 여성의 에클레시아에 초대할 수 있도록 여성의 에클레시아의 장벽을 허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reinterpret the ekklesia of wo/men, Elisabeth Schüssler Fiorenza’s concept of ecclesiology, from postfoundationalist perspective. Even though her ekklesia of wo/men pursues the ideal, “happiness and well–being for everyone,” it is self–contradictory, because the ekklesia of wo/men seeks to approve only diversity limited to the critical discourse to kyriarchy by assuming the feminist ideology–critical methodology as the foundation of all interpretations. Thus, the author tries to readjust this critique–centered framework, which the ekklesia of wo/men has, from a postfoundationalist insight. Postfoundationalism has a position that strives to affirmatively mediate between foundationalism which believes there is universal foundation regardless of socio–historical tradition or contexts, and nonfoundationalism which understands that truth is always relative and context–bound. Postfoundationalism is expected to contribute not just to relativize the dogmatism of the feminist critical paradigm that filters interpretations only from socio–political critical eyes and finally occupies the crown of meta–discourse, but also to destroy the wall of the ekklesia of wo/men in order for various feminist studies different from the feminist critique to be invited in the ekklesia of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