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루터의 두 왕국설은 개인의 내면을 강화시켰다. 루터는 바깥세상과 구분되는 인간의 내면세계에 초점을 맞추고, 거기서 하나님 나라를 찾고자했다. 바깥의 모든 직무수행은 내면의 신앙의 연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신학적 진리가 계시되는 개인의 내면은 인문주의자들의 도덕 양심의 내면보다 더 깊은 내면이다. 안의 안에서 개인은 타자와 세상에 대해 있기 전에 자기에 대해 있다. 자기에 대해 있음은 하나님에 대해 있음을 가리킨다. 내면의 하나님 앞에서 자유로워진 개인은 해석학적 주체가 된다. 루터는 개인이 사제의 권위를 벗어나 성서를 통해 스스로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이처럼 개인이 진리 인식의 주체가 됨으로써 권위의 중심이 밖으로부터 각 개인의 내면으로 옮겨진다. 루터의 해석학적 주체는 수동적 주체라는 점에서 신률적 주체이지만, 타율을 벗어났다는 점에서 근대의 인간관인 자율적 주체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Luther’s two kingdoms theory unprecedently strengthened individual’s inner world. He focused on each human being’s interior world and made it the place of the kingdom of God distinguishable from the exterior worldly kingdom. Human activities in the world must be preceded by the inner belief in God. Individual’s inner mind in which the theological truth is revealed is more interior than the humanistic philosophical mind. Individual exists for God, as being for himself or herself prior to being for others or the outer world. Liberated self due to the grace of God becomes hermeneutic subject of the truth. Luther insisted that each layman can know the will of God through the biblical texts on his own without the authoritarian and traditional intervention of priests. In so far as individuals become the cognitive subject of the eternal truth, each of them end up playing a role of the center of authority, which led to the emergence of the modern autonomic 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