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일본의 자국문화를 중시하는 태도가 문학의 개념과 상호 유비적으로 어떻게 얽혀 있는지 살펴보았다. 논지의 전개는 먼저 일본의 문학 개념이 정착되어 가는 과정을 개괄하고, 이어서 문학 개념의 통일에 주목한 야나기다 이즈미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일본에서 근대문학에 대한 연구가 간토대지진 이후 메이지문화연구회의 추동에 의해 시작되었고, 아울러 사회사상의 산물로서 문학을 보는 야나기다 이즈미의 시각이 갖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야나기다 이즈미는 문학을 시대의 총괄로서의 ‘문화’로 또는 ‘사회문화사’로 인식하는 자세를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일본 문학의 효용성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현재적 레토릭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how the Japan’s attitude that emphasizes its national culture is analogically intertwined with the concept of literature. First, this paper outlines the process in which Japanese literary concepts are being established. then looked at Izumi Yanagida’s discussions, which focused on the unification of literary concepts. In this process, I found out that the study of modern literature in Japan was started by the Meiji Bunka Kenkyukai after the Ganto earthquake. Also I could figured out the features of Yanagida's view of literature as a product of social thought. In particular, Yanagida shows the attitude of recognizing literature as “culture” or “social and cultural history” as the main theme of the times. And it is no different from the current rhetoric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Japanese literature.


本稿では日本の自国文化を重視する態度が文学の概念と相互アナロジー的にどのように絡み合っているのかを考察した。論旨の展開のために最初に日本の文学概念が定着していく過程を概括し、次いで文学概念の統一に注目した柳田泉の議論を調べた。この過程で日本で近代文学に関する研究が関東大震災後の明治文化研究会によって始まったことや、社会思想の産物として文学を想定した柳田泉の見解が持つ特徴に注目することができた。 とりわけ柳田泉は文学を時代の総括としての「文化」または「社会文化史」として認識する姿勢を示した。そしてこのような態度は日本文学の効用性を評価する際に駆使される現在のレトルリクと大差がないことが言え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