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증권시장에서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매도가능금융자산 공정가치 서열체계정보(level 1, level 2 및 level 3)의 기업가치 관련성을 실증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중국의 상해증권거래소와 심천증권거래소에 계속 상장된 기업을 금융업과 비금융업으로 구분하고 공정가치 서열체계정보공시의 의무도입 전후로 구분하여 기업가치 관련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미국의 SFAS No.157에 따라 조기 도입한 기간에 금융업의 매도가능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서열체계인 level 1과 level 2는 유의적인 양(+)의 가치관련성을 보이나, level 3은 유의하지 않은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2011년부터 2013년까지 IFRS No.13에 따라 자발적으로 도입한 기간에는 금융업뿐만 아니라 비금융업도 level 1과 level 2가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level 3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음(-)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2014년부터 2015년까지 IFRS에 따라 의무적 도입한 기간에 금융업에서는 level 1, level 2와 level 3의 모든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비금융업에서는 level 1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기업가치관련성을 나타냈다. 넷째, 2011년부터 2015년까지 IFRS에 따라 도입한 전체 기간에 금융업에서는 level 1과 level 2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났다. 비금융업은 level 1만 유의적인 양(+)의 가치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IFRS에 따fms 자발적 도입과 의무적 도입 기간의 가치관련성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금융업에서는 level 1의 가치관련성이 증가되었다. 이는 의무도입과 함께 매도가능금융자산의 비중이 큰 금융업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증가되었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금융업뿐만 아니라 비금융업에서도 의무 도입이후에 level 2가 기업가치관련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는 level 2의 투입변수가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고, 신뢰도가 level 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매도가능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서열체계정보 level 1과 level 2는 대부분의 분석에서 기업가치에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반면, level 3의 정보는 대부분의 분석에서 유의적이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세분화된 정보의 제공이 정보의 비대칭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the fair value system information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on the enterprise value of listed companies in the Chinese market. In order to do that ,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evance of fair value system information (level 1, level 2 and level 3) were discussed and based on that, the research hypotheses and verification model were founded. Information on the fair value hierarchy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was collected from the companies listed o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and the Shenzhen Stock Exchange in China. The companies which continually lised on the board from 2011 to 2015 were selecetd as the samples and the information about fair value hierarchy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were founded in the annotation of the audit report from 2007 to 2015 and was extracted manually. First, the financial industry in a period of 4years from 2007 to 2010 (voluntary adoption of SFAS No. 157), showed that fair-value hierarchy level 1 and level 2 had positive relations to firm's value. Second,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dustry in a period of 3years from 2011 to 2013(voluntary adoption of IFRS No.13) showed that level 1 and level 2 of fair-value hierarchy information had positive effect on firm's value. Third, financial industry in a period of 2years from 2014 to 2015(mandatory adoption of IFRS No.13) showed that all variables of level 1, level 2 and level 3 were positively related to firm's value. However, non-financial industry showed that only level 1 had positive relation with firm's value. Fourth, after adoption of IFRS No.13, the higher the portion of level 2 is, the lower the value relevance of fair-value hierarchy information becomes. It may be because in case of level 2, the input factors would be selected subjectively comparing to level 1.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level 1 and level 2 of the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are positive (+) in most of the analysi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level 3 was not significant in most analyzes. This suggests that the provision of detailed information in the fair value hierarchy system has the effect of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