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저작권 소양 함양을 위하여 프로그래밍교육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지역에 소재한 있는 S초등학교의 4학년 1개반 26명과 K초등학교의 4학년 1개반 25명을 각각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먼저 실험 처치 전 두 집단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 실시 후 분석한 결과 실험 집단에 적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 저작권 소양 함양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인지적 영역, 가치적 영역, 실천적 영역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는데, 특히 인지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에서의 효과가 컸다. 인지적 영역에서의 큰 차이는 앱 만들기와 저작권에 대한 모둠별 학습이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실천적 영역에서는 앱을 통한 실제 저작물 제작과정과 시장놀이를 통한 매매 과정을 통해 저작권의 중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effect of a copyright literacy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programm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rogram, a class 26 students in 4th grade in S elementary school and another class of 25 students in 4th grade in K elementary school were sampled. Those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Before the experiment, the equivalence of two groups were confirmed using the pre-test. The results of experiments were as follows. For all three areas, cognition area, value area, and practice area, the programming-based education is more efficient than the project-based education. Especially for cognition area and practice area, the effect of programming-based education were outstanding.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might make it big difference on the cognition area. Also,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n copyright might make the difference in the practic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