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내재적 삶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동·청소년패널의 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변수들의 결측치들을 제거하고 난 1,776명의 케이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진행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삶의 목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매개변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중학생의 내재적 목표 지향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와의 관계가 내재적 삶의 목표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teacher relationship and the intrinsic life goals of adolescents. This study used 1,776 cases from the sixth-wave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his study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a Sobel test to examine whether the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ho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 were more likely to have better intrinsic life goals. Second, adolescents who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self-esteem. Third, the effect of adolesc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on intrinsic life goals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self-esteem.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