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 모래놀이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서울‧경기지역의 교사 1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소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방식으로 집단별 2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추가 자료가 필요한 경우 1회의 개별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 모래놀이를 통해 유아가 경험하는 구성과 표현의 자유로움, 또래 간 긍정적 상호작용과 협동, 다양한 과학탐구, 감각놀이 본능 충족, 스트레스 해소에 그 교육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교육적 의미를 모래놀이만이 가지는 특성으로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조절할 수 없는 외부 환경 요인, 유아 청결상태 유지, 안전사고, 학부모의 위생과 청결에 대한 우려, 여러 제약이 동반하는 실내 모래놀이에 대해 어려움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재ㆍ교구, 교수자료 및 연수, 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모래놀이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모래놀이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요구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효율적인 유아교육기관 모래놀이 운영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rimary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sand play from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otal 18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mini focus group interviews. Two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dditional individual interview was performed if necessary.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ning of sand play in the institute including freedom of composition and expression, peer interaction and cooperation, exploration of scientific concepts, satisfaction of sensory play instinct, and opportunity to relieve stress. Teachers, however,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such as uncontrollabl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 sand play, maintenance of children’s cleanliness, safety accidents caused by small particles of sand, concerns about parental hygiene and cleanliness, and constraint of indoor sand play. According to the teachers’ opinion, the following contents were requir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sand play in child care institute: provis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and offer of specific program for sand play activity.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for sand play in the institute were provided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eachers’ perceptions and improvement need of sand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