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3개교)의 남·여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17년 4월 26일부터 5월 25일에 걸쳐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566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559명의 수집된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Ver. 22.0과 Hayes(2013)의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예측 변인이자 보호 요인이며, 상담 장면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안녕감의 저하를 호소하는 대학생의 안녕감 증진을 위해 개인 내적 자원인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의 개발을 통한 더욱 효과적인 전략과 개입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figure these out, 566 students were selected from 3 universities in Busan and a survey measuring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conducted from 2017. 04.26 to 5.25. Final data from 559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2.0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 of Hayes(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Third, i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Following results shows that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re the predictor variable and protective factor which can increase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there is a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at it verified the possibility of more effective strategy and intervention during counseling through development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which is individual internal resource, and social support which is external resource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ain for decrea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aused by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