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바리공주를 이상적인 치료사의 원형으로 보고 이를 통하여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바리공주 이야기의 구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라 바리공주가 보이는 치료사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야기는 공간이 이승과 저승 그리고 다시 이승으로 이동하면서 바리공주 탄생 이전 부모에 관한 이야기와 공주의 버려짐과 구해짐, 그리고 공주의 양육과 원 가족과의 재회, 그 다음으로 길 떠난 공주가 약수를 구해 돌아와서 부모를 살리고 새로운 지위를 얻는 것으로 구성되었음을 알았다. 이러한 이야기의 구성에서 공주는 버려진 자 - 양육된 자 - 선택된 자 - 선택한 자 - 도움 받는 자 - 일하는 자 - 견디는 자 - 얻은 자 - 도움 주는 자 – 구원자 - 저승 길 인도하는 신으로 그 역할이 변화되었고, 이는 다시 버려진 자 – 희생자 - 행동하는 자 - 책임지는 자 - 주는 자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할들은 치료사가 상담자를 대하면서 항상 접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것이 갖는 의미를 천착할 필요가 있다. 바리공주는 자신의 역할을 인간적 차원의 정서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의 세계를 뛰어넘는 신적 존재의 그것으로 승화시켰다. 즉 존재의 깊은 수치심과 상실감 - 보호와 사랑 받음 - 건강함과 자존감의 회복 - 주고받는 사랑 - 존재로서의 충만함 - 헌신과 희생의 존재로 그 역할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변화시켰던 것이다. 앞의 두 단계가 인간 세계에서 나타나는 정서라면 뒤의 두 단계는 신의 세계를 표상하는 것이다. 중간의 두 단계는 신의 세계로 이동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도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에서 바리공주가 보여준 모습은 결국 공감과 공명, 관조와 개입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현대의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 ‘버려짐’과 ‘보호자의 구원’이라는 양극단의 경험은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 위한 내적 경험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장 낮은 곳으로의 전락이라는 경험을 통하여 바리공주는 공감과 공명을 획득할 수 있었고, 따라서 치료사는 이러한 과정을 내면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일하고 견디는 과정’을 통하여 바리공주는 자신에게 핍박을 가한 부모까지도 제대로 관찰할 수 있었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적시(適時)에 줄 수 있는 관조와 개입의 능력을 확인하였다. 좋은 치료사는 이처럼 오랜 시간 직접 몸의 체험을 통하여 많은 경험을 가졌을 때 이루어진다는 점, 그리고 그러한 과정의 바탕에는 항상 건강함과 사랑받음의 회복이 존재해야 한다는 점을 바리공주의 일생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tends to identify the qualifications to become a good therapist by regarding Princess Bari as an ideal model. First, the structure of the story of Princess Bari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role as therapist and its implications. The story illustrates the episodes of Princess Bari’s parents before her birth; how she was abandoned, saved and raised; and the reunion of the family by moving the settings from this world to afterlife and again to this world. Finally, the story ends with her journey back to the world of the living by obtaining the sacred water to save her parents and thereby getting a new position. The roles are transformed as follows: the abandoned one- the nurtured one - the chosen one –the chooser- the working one - the enduring one- the gainer- the helper- the saviour- the god who leads to the next world. Also,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as the abandoned- the victim -the doer-the responsible person-and the giver. She sublimated her role in the higher power as Goddess over the human sympathy. Based on her experiences, Princess Bari went through different stages of emotional change: deep shame and feeling lost; feeling healthy and recovering self-esteem; mutual love; feeling fulfilled. At the last stage, she turns into a sacred symbol of the dedication and sacrifice. The front two stages correspond to the human emotion; the last stage, the divine image; the two middle ones are the necessary transitive stages to the divine world. The Princess Bari’s story implies various qualifications necessary for a good therapist. These include empathy, resonance, witnessing and intervention. Her experience of being abandoned and her position as a princess provides her a wide spectrum of understanding of people. In addition, she developed her skills to balance between witnessing and intervention through her experience of ‘working and enduring’. Most of all, her story suggests that feeling mentally stable and the recovery of feeling loved based on her physical experience reinforces her strength as a therap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