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허먼 멜빌의 「필경사 바틀비」에서 화자가 바틀비와의 관계를 통해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존재하는 자신의 삶에 대해 자아 성찰을 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호모 에코노미쿠스, 즉 경제적 인간이란 미쉘 푸코가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에서 개인들이 인간 자본의 주체로서 형성되는 과정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차용한 용어이다. 푸고는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가장 중요한 특성을 “현저하게 통치하기 쉬운” 존재로 규정하면서 신자유주의 속에서 인간 주체는 그 체제의 시장 원리와 환경을 내면화한 가운데 자신에게 배정된 역할을 무의식적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수행하게 됨을 강조한다. 멜빌의 작품은 비록 19세기 중반 미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경제 체제가 그 구성원의 존재 양태를 규정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푸코가 지적한 바와 유사한 통찰력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현저하게 통치하기 쉬운” 화자는 작품에서 유일하게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규정될 수 없는 인물, 바틀비의 수동적이지만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을 때에야 비로소 자신의 존재 방식으로부터 거리를 확보하고 그 존재 방식의 타당성과 의미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한다.


This essa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narrator in Herman Melville's Bartleby, the Scrivener engages in self-reflection on his manner of existence as a homo economicus through his interactions with Bartleby. Homo economicus, or economic man, is a term Michel Foucault appropriates in his investigation of the ways in which individuals are constituted as subjects of human capital within the economic system of neoliberalism. Positing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homo economicus as being “eminently governable”, Foucault stresses that human subjects in neoliberalism unconsciously yet voluntarily internalize and perform roles assigned to them within the system. Although it is set in mid-nineteenth-century America, Melville's story provides similar insights into how an economic system defines its members' manner of existence. It is only when the “eminently safe” narrator confronts the passive but powerful resistance of Bartleby, the only person in the story who cannot be regarded as homo economicus, that he distances himself from his mode of existence and questions its validity and meanings.